5년 논란 용산 화상경마장 연말까지 폐쇄한다

입력 2017-08-24 21:26 수정 2017-08-24 23:46
학교 앞 사행시설 설치로 논란을 빚어 오던 서울 용산구 화상경마장(마권 장외발매소)이 연내 폐쇄된다.

한국마사회는 오는 27일 용산 장외발매소에서 ‘장외발매소 혁신’을 위한 협약식을 체결한다고 24일 밝혔다.

이 자리에는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을지로위원회 소속 의원, 이양호 마사회장, 박원순 서울시장, 시민들로 구성된 용산 장외발매소 반대대책위원회 인사들이 참여한다.

협약의 핵심은 용산 장외발매소 폐쇄 계획이다. 올해 말까지 폐쇄를 마치고 이전하기로 했다. 향후 장외발매소를 신설할 때 교육 환경을 보호하겠다는 내용도 담긴다. 용산 장외발매소가 주민 반대에 부딪힌 원인이기 때문이다. 2015년 개장한 용산 장외발매소는 학교와 주택에 가까운 입지 때문에 주민들과 갈등을 빚어 왔다. 아울러 신규 장외발매소 설치 이전에 지역사회 동의 절차와 같은 의견 수렴 과정도 강화하기로 했다.

시민과 마사회 간 중재 역할을 맡았던 국회 을지로위원회는 이번 결정에 환영 의사를 밝히며 향후 법령 개정에 적극 협조키로 했다. 정부에서 허용한 총량 범위 내 장외발매소 운영 및 지역사회 수혜 확대 등의 내용이 포함된 법 개정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학영 을지로위원회 위원장은 “학생들의 교육권을 위해 장기농성을 해온 주민들이 이제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됐다”며 “주민의 뜻을 수용해 화상경마장 폐쇄를 결단한 마사회에 감사 드린다”고 말했다. 마사회 관계자는 “새정부 가치 이념에 적극 부응하고자 협약을 체결했다”고 말했다.

용산 화상경마도박장 추방대책위원회도 “지난 5년 동안 ‘학교·주거지 앞 도박장’ 추방을 위해 애써주신 많은 분들의 힘으로 용산 화상경마장 폐쇄 협약식을 진행한다”며 “아이들에게 ‘정의가 승리한다’는 것을 꼭 보여주고 싶었다”고 밝혔다.

마사회가 2013년 9월 용산역 화상경마장을 성심여중고와 220m가량 떨어진 현 위치로 이전하려고 추진하자 주민 측과 갈등이 빚어졌다.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등 시민단체와 주민들은 대책위를 구성해 맞섰고 2014년 1월 22일부터 화상경마장 앞에서 1300여일간 천막 노숙농성을 이어오며 화상경마장 입점 반대와 폐쇄를 요구해 왔다.

국민권익위원회가 마사회에 화상경마장 이전 혹은 철회를 권고하고 서울시의회와 용산구의회도 반대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으나 마사회는 2015년 5월 화상경마장을 기습 개장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세종=신준섭 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