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얼굴) 대통령이 23일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광주 전일빌딩 헬기 사격 사건과 공군 전투기 출격대기 명령 의혹에 대한 특별조사를 지시했다. 국방부는 두 사안을 조사하기 위한 특별조사단을 구성하는 한편 5·18민주화운동 관련 단체들의 조사 참여도 적극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대선 후보 때인 지난 3월 광주를 방문해 ‘5·18 관련 자료 폐기금지특별법’ 제정 및 5·18민주화운동 관련 추가 진상규명을 약속했다. 전일빌딩을 찾아 헬기 사격으로 추정되는 탄흔을 살펴보기도 했다. 지난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도 진상규명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특히 최근 언론보도를 통해 당시 광주 공습 계획이 실재했다는 증언도 공개됐다. 공군 조종사였던 김모씨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5·18 사나흘 뒤 500파운드 폭탄 2발을 F5-E에 싣고 광주로 출동할 준비를 했다. 고성능 기관포와 폭탄으로 무장하고 비상대기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5 18민주화운동 헬기 사격 및 전투기 대기 관련 국방부 특별조사단’을 구성해 특별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노수철 국방부 법무관리관은 “이른 시일 내 특별조사를 실시하겠다”며 “5·18민주화운동 관련 단체의 조사 참여 요청 시 적극 수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외교부와 통일부 업무보고에서 한반도 운전자론과 남북관계 개선 의지를 분명히 했다. 문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한반도 평화는 우리가 지킨다는 자세와 철저한 주인의식, 국익 중심으로 (외교 문제에) 접근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비핵화 노력과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노력은 선후 또는 양자택일의 문제가 아니라 상호보완적 역할을 하면서 선순환 구도 속에 진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통일부가 역점을 둘 것은 한반도 신경제구상이 실현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 구상이 실현되면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이며,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의 토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전에는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 이틀째를 맞아 수도방위사령부 전시지휘소를 방문해 상황보고를 청취하고 군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문 대통령은 “군은 UFG 연습을 통해 전시작전권 환수 시 한·미 연합방위체제를 주도하는 능력을 갖추게 될 것”이라며 “그동안 한·미 정부와 군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 준비해온 연습인 만큼 많은 성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동성 기자,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theMoon@kmib.co.kr
후보시절 전일빌딩 찾았던 文대통령 “5·18 헬기사격 특별조사”
입력 2017-08-24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