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가 포함된 한·미·일 연합의 도시바 반도체 사업 인수가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과 지지통신은 23일 도시바가 웨스턴디지털(WD)과 이달 내 마무리를 목표로 도시바 메모리 매각을 위한 집중 협의에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WD는 한·미·일 연합에 속한 일본 민관펀드인 산업혁신기구(INCJ), 미국 사모펀드 운용사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 일본정책투자은행과 연합해 인수 조건을 제시했다. WD 측은 인수가로 1조9000억엔(약 19조6600억원)을 써낸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의 움직임도 빨라졌다. WD 교섭 담당 임원이 이번 주 일본을 찾아 도시바 관계자들과 협의를 진행하고 도시바는 이달 중 이사회 승인을 얻어 최종 계약을 맺을 계획이다. 도시바는 채권은행단에 WD 측과의 매각교섭을 우선하고 있다는 의사도 전달한 상태다.
도시바가 우선협상대상자인 한·미·일 연합 대신 WD로 기울어진 것은 WD가 제기한 소송 리스크와 더 이상 시간을 소요할 수 없다는 판단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도시바와 협업 관계인 WD는 도시바 메모리 매각에 반대 입장을 밝히며 국제중재재판소에 매각금지 신청을 냈다. 심리 결과에 따라 매각 일정이 차질을 빚거나 최악의 경우 백지화될 가능성도 있다. INCJ는 이를 감안해 “WD와의 화해 없이는 자금을 지원할 수 없다”는 입장을 취해 왔다. INCJ가 이번에 WD 진영에 서서 매수 조건을 제시한 것도 WD와의 협상이 더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내년 3월까지 채무초과 상태를 해소하지 않으면 상장 폐지될 운명에 처하게 되는 것도 도시바가 매각을 서두르는 이유다. 도시바는 미국 원전사업 실패로 지난 3월 말 기준 5529억엔(약 5조7200억원)의 채무초과 상태에 있다. 다만 도시바와 WD 측의 협의는 아직 유동적이다. 도시바는 WD와의 협의가 결렬될 경우 한·미·일 연합으로 다시 눈을 돌리거나 증자 등의 방법으로 채무초과를 해소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도시바, WD와 매각 협상 돌입”… SK하이닉스 인수 물건너가나
입력 2017-08-23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