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종환 “신문구독료·소득공제 계속 협의”

입력 2017-08-23 22:03 수정 2017-08-24 09:34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초청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문체부 제공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문화계 블랙리스트 조사와 관련, “청와대와 국정원까지 조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도 장관은 2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초청 토론회에서 블랙리스트 진상조사위원회 활동에 대해 이렇게 답했다. 그는 “청와대 국정원까지 더 조사해야 할 게 있다는 주문이 있다”면서 “청와대 캐비닛 문건도 공식 요청해 들여다보고 국정원에서 관여했던 사람에 대해 책임을 묻는 것도 진상조사위원회에서 진행할 것”이라고 했다. 도 장관은 블랙리스트 진상조사위원회 공동위원장이다. 블랙리스트와 관련된 산하기관인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영화진흥위원회에 대한 인적 쇄신 방침도 재확인했다. 문체부는 블랙리스트 여파로 침체된 문체부에 활력을 불어넣고 국민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조직문화혁신위원회’를 이날 구성했다.

도 장관은 언론단체들의 신문구독료 소득공제 요청과 관련해 “가능하면 많이 혜택을 줄 수 있다면 좋겠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신문구독료도 소득공제 혜택을 해달라는 법안이 이미 지난해 국회에 제출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국회는 국회대로 법안이 통과되는 시간이 있겠지만 문체부도 기획재정부와 계속해서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문화도시’ 육성 계획도 소개했다. 그는 “지역 간 문화의 균형발전 대책으로 2022년까지 30개 도시를 문화도시로 육성해 지역문화를 활성화하는 것을 골자로 한 ‘문화도시 중장기 정책계획’을 수립 중”이라고 설명했다.

도 장관은 “우리 삶에도 쉼이 있어야 다시 일 할 수 있고 머리와 가슴을 비워야 새로운 상상력과 감수성이 생겨난다”며 ‘휴가지원제도’ 필요성을 강조했다. 휴가를 가기 어려운 노동자에게 휴가비를 지원하는 정책이다. 예를 들어 휴가비로 20만원이 필요한 노동자에게 기업이 10만원, 정부가 10만원을 보조하는 방식이다. 도 장관은 ‘쉼표가 있는 삶’을 설명하면서 “음표와 음표 사이의 정지, 그곳에 예술이 있다”는 피아노 거장 아르트르 슈나벨의 말을 인용해 눈길을 끌었다.

도 장관은 또 최근 체육계 비리를 언급하며 “먼저 공분을 산 체육계 승부 조작, 인권침해, 관련 단체 비리를 철저히 조사해 근절하겠다”고 했다. 평창올림픽 준비와 관련해서는 “대회가 끝나면 바로 특별감사를 실시해 막대한 올림픽 예산이 제대로 사용됐는지 낭비된 건 없는지 점검하겠다”고 했다. 문화콘텐츠 산업 지원 대책으로 “콘텐츠 분야에 16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방송에 500억원, 콘텐츠에 600억원 정도 지원할 계획”이라고 했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