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 예비역 장성들 “수원 전투기, 광주 출격대기? 이해 안돼”

입력 2017-08-23 19:20 수정 2017-08-23 21:36

문재인 대통령의 지시로 특별조사가 시작된 ‘공군 전투기의 광주 출격대기 명령’ 의혹은 실체가 명확하지 않다. 의혹은 JTBC 보도가 근거다. JTBC는 22일 1980년 수원 제10전투비행단 101대대에서 F-5E/F 전투기 조종사로 근무했다는 김모씨 인터뷰를 통해 ‘5월 21∼22일 사이 비행단 전체에 출격대기 명령이 내려졌다’는 내용을 보도했다. 김씨는 “당시 500파운드의 공대지 폭탄 MK-82 두 발을 장착하고 대기했다”며 “출격지는 광주로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 당시 대대장이었던 김홍래 전 공군 참모총장도 출격대기를 한 것은 맞는다고 인정했다. 하지만 출격대기 이유가 달랐다. 김 전 총장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출격대기는 북한에 대비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공군예비역 장군들은 23일 “전투기가 시민들을 폭격한다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라며 “북한의 움직임에 대비하기 위한 출격대기 명령이었을 개연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예비역 공군 장군들은 당시 수원비행장에서 광주로 출격대기 명령을 내렸다는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광주 인근에도 공군비행장이 있었는데 굳이 멀리 떨어져 있는 수원비행장의 전투기들을 동원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당시 수원비행장은 북한과 관련된 대부분 임무를 수행하는 최전방 부대로 수도권과 서북도서로 들어오는 북한 항공기를 막아내는 데 중점을 두고 있었다. 공군 대장 출신 한 예비역 장군은 “수원비행장에는 최신예 전투기가 배치돼 북한의 도발 등에 대비해 유사시 3분 이내 출격이 가능하도록 대비상태를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런 전투기들을 남쪽(광주)으로 전개한다는 것은 상당한 전력공백을 감수해야 하는 일이어서 함부로 할 지시가 아니다”고 말했다. 다만 국내 상황이 소란한 틈을 타 북한이 도발할 가능성에 대비해 출격명령을 내렸을 수는 있다고 덧붙였다. 공군전투기에 공대지 폭탄을 장착하는 경우는 대부분 대침투작전이나 대간첩작전 수행 시에 국한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