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북한 핵 개발 프로그램에 도움을 준 것으로 판단한 중국 러시아 등의 기관과 개인에 대해 추가 독자 제재에 나섰다. 중국과 러시아는 반발했다.
미 재무부는 북한의 핵 개발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혐의로 중국과 러시아를 비롯해 싱가포르, 나미비아의 기관 10곳과 중국, 러시아, 북한의 개인 6명에 대한 제재안을 발표했다고 AP통신 등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재무부가 북핵과 관련해 독자 제재에 나선 것은 올 들어서만 네 번째로 지난 6월 29일 이후 약 두 달 만이다. 올해에만 모두 기관 23곳, 개인 22명이 미국 정부의 독자 제재 대상으로 지정됐다.
독자 제재 명단에 오르면 미국 내 자산이 동결되고 미국인, 미국 기업과의 거래가 금지된다. 재무부는 “북한의 핵·미사일 실험을 막고 북한을 더욱 고립시키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은 “북한이 국제사회를 불안정하게 하고 대량살상무기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소득을 창출할 수 있도록 돕는 중국과 러시아 등의 기업을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재무부는 특히 제재 대상에 포함된 만수대해외프로젝트와 만수대해외프로젝트의 전무이사 김동철(북한)이 북한 노동자들의 해외 파견을 지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주미 중국대사관은 성명을 통해 “중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체계에서 벗어난 일방적 제재를 반대한다”며 “특히 어떤 나라가 자국법에 따라 중국 개인과 기업을 확대 관할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성명은 또 “우리는 미국이 즉각 이런 잘못을 고쳐서 유관 문제에 대한 상호 협력에 영향을 주지 않기를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러시아는 보복 대응을 천명했다. 세르게이 라브코프 러시아 외무부 차관은 “백악관에 새 주인이 온 이래 이런 ‘무모한 장난’이 벌써 네 번째”라며 “이런 상황에서 대응은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미국은 양국의 관계가 안정되길 바란다고 말하고 있지만 이 같은 제재로 미뤄볼 때 그 말을 믿기 어렵다”고 비판했다.워싱턴=전석운 특파원,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美, 중·러 추가 독자제재
입력 2017-08-23 1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