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8% “청년일자리 창출 가장 역점 둬야”

입력 2017-08-23 19:37 수정 2017-08-23 21:24

국민들은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가 ‘청년 일자리 창출’에 가장 역점을 둬야 한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3일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일자리 정책 관련 국민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일자리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가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사안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52.8%)이라는 응답이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장년 취업자의 일자리 안정성 제고’(18.4%)와 ‘여성의 일자리 참여 확대 및 경력단절 해소’(12.0%)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청년실업 해결을 위한 정부정책 중 ‘청년 중소·벤처기업의 창업 지원’(66.6%)이 가장 효과가 크다고 평가했다. ‘민간부문 청년 신규채용 권고 및 인센티브 도입’(59.3%)과 ‘중소기업 청년 추가고용 장려금 도입’(52.1%)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구직활동을 하는 청년에게 생계비를 지원하는 구직촉진수당 도입에 대해서는 절반가량(46.9%)이 효과가 없다고 답했다.

또 대다수(76.1%)가 최저임금 1만원 인상에 공감했지만 천천히 올리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58.0%)이 이른 시일 내 올려야 한다(18.1%)는 의견보다 많았다. 최저임금 인상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의견은 17.9%에 머물렀다.

국민 대다수(83.5%)는 일자리 문제가 심각하다고 보고 있었다. 10명 중 7명꼴로 ‘소방관·사회복지사 등 공공부문 생활밀착형 일자리 확대’와 ‘예산 범위 내 최대 일자리 확대’ 정책에 공감했다. 그러나 이 정책이 ‘민간부문 일자리도 늘어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의견에는 47.8%만이 공감했다. ‘세금 부담이 크므로 공공부문 일자리 확대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에 대한 찬반은 각각 35% 전후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응답자의 과반수(57.1%)가 근로시간 단축을 통한 일자리를 나누는 ‘잡셰어링’에 동의했다. 동의하지 않는다는 비율은 19.6%였다. 공공부문에서 추진되고 있는 ‘비정규직 차별금지 및 처우개선’(65.6%)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56%) ‘공공부문 채용 확대’(50.3%)에 대해 절반 이상이 긍정했다. 입사지원서에 학력이나 가족관계 등을 쓰지 않는 ‘블라인드 채용’이 차별 해소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도 63.5%로 높게 나왔다.

이번 조사는 문체부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리서치에 의뢰한 것으로 지난 11∼17일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글=강주화 기자 rula@kmib.co.kr, 그래픽=전진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