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지주 회장 선임이 금융권 적폐로 지목돼온 낙하산 논란으로 파행을 거듭하고 있고, 그 여파로 부산은행장 선임마저 겉돌고 있다. 낙하산 논란과 이로 인한 경영공백은 가뜩이나 낙후된 금융 산업의 후진성을 심화시킬 수 있다. 더욱이 적폐 청산을 강조해온 문재인 정부마저 이런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는 사실은 매우 유감이다.
BNK금융 임원후보추천위원회는 21일 회장 선임 문제를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다음 달 8일 재논의키로 했다. 지난 17일에도 회장 후보 선임을 위한 회의를 열었으나 실패했다. 회장 후보에 오른 박재경 BNK회장 직무대행과 김지완 전 하나금융지주 부회장, 정민주 BNK금융연구소 대표 모두 임추위위원 과반수 지지를 얻지 못했다. 회장 선임이 지연되면서 최대 자회사인 부산은행장 선임도 비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익히 알려진 대로 김 후보는 노무현 전 대통령 부산상고 동문이자 문재인캠프 출신이다. 낙하산 논란의 근거다. 내부 인사인 나머지 두 후보 역시 자사주 시세 조종 혐의로 구속 기소된 전임 회장의 불법행위에 일정 부분 책임이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정치권력과 가깝다고 해서 금융회사 회장이 되는 것은 대단히 잘못됐다. 의사결정이 경영적 판단보다 정치적 판단에 치우칠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의 낙하산 인사는 관치의 근거가 됐고, 이는 결과적으로 금융 산업 발전을 가로막아온 주된 요인 중 하나라는 지적도 이래서 틀리지 않다. 또 인사 갈등은 편가르기를 낳는다. 적폐 중의 적폐인 것이다. 그러나 외부 인사는 무조건 낙하산이라는 주장도 잘못됐다. 내부든 외부든 중요한 것은 업무 능력이다. 누가 봐도 BNK금융지주 회장 선임 과정은 정상이 아니다. 우리는 낙하산 인사를 적폐라고 규정하고 그런 일이 없을 것이라는 새 정부의 약속을 기억한다. 이젠 낙하산 인사를 끝내야 할 때가 됐다.
[사설] 文정부마저 ‘낙하산 적폐’ 논란에 휩싸이다니
입력 2017-08-23 1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