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이 사이버 외곽팀을 통해 여론조작을 했다는 의혹에 대해 검찰이 민간인 외곽팀장 30명을 출국금지하고 본격적인 수사에 들어갔다.
서울중앙지검은 22일 “국정원 수사의뢰와 관련해 오늘 사건을 공공형사수사부에 배당하고 수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수사팀은 공공형사수사부와 공안2부 검사, 일선 검찰청에서 파견된 검사 등 10여명으로 구성됐다.
이는 박근혜정부 시절 검찰이 국정원 댓글부대 사건을 수사하기 위해 꾸렸던 특별수사팀보다 2배 가까이 큰 규모다. 당시엔 윤석열 현 서울중앙지검장을 팀장으로 공안부 검사 3명, 첨단범죄수사부 검사 1명, 특수부 검사 1명 등 6명이 참여했다.
수사팀은 일단 사이버 외곽팀 민간인 팀장 30명을 차례로 소환해 구체적인 역할과 행위 등을 파악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팀장 30명을 출국금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국정원 예산이 이들에게 보수로 지급됐는지 등 회계 분석을 통한 자금 흐름 추적도 병행할 예정이다.
국정원 직원들과 원세훈 전 국정원장의 공모 여부에 대한 검찰 수사도 불가피하다. 수사가 속도가 붙어 지난 보수정권 10년 동안의 국가정보기관 범법행위 전반에 대한 수사로 번질 가능성도 있다. 이명박 전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통령 개입 여부도 수사 대상이 될 수 있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
檢 ‘국정원 정치개입’ 수사 착수
입력 2017-08-22 19:57 수정 2017-08-22 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