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석, 박기영·류영진 인사 논란에 “자성·유감”… 의원들과 설전도

입력 2017-08-22 18:35 수정 2017-08-22 21:33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이 22일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입을 꾹 다문 채 의원들의 질의를 듣고 있다. 야당이 출석을 요구했던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은 불참했다. 윤성호 기자
새 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린 국회 운영위원회 청와대 업무보고에서 청와대·여당과 야당은 문재인정부 초기 인사 논란을 놓고 설전을 벌였다.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은 일부 인사 난맥에 대해 유감을 표했지만 역대 정부보다 강한 인사 검증을 하고 있다고 항변했다.

임 실장은 22일 운영위 전체회의에서 박기영 전 과학기술본부장과 류영진 식품의약품안전처장 등과 관련한 인사 논란에 대해 고개를 숙였다. 임 실장은 박 전 본부장 임명과 관련해 “저희가 국민 눈높이에 맞추지 못했고, 과학기술인들의 열망과 목소리에 충분히 귀 기울이지 못했다고 자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박 전 본부장이 자신의 낙마를 ‘마녀사냥’에 빗댄 것과 관련해 “그런 표현은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살충제 계란 파동’과 관련한 야권의 류 식약처장 해임 요구에 대해서도 “초기 업무파악이 부족하고 부적절한 발언으로 국민의 염려를 키운 것은 안타깝고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나 임 실장은 야권이 문재인정부 초기 인사를 ‘인사 참사’라며 펼친 공세에는 “지나친 표현”이라고 적극 반박했다. 그는 “인사는 항상 어렵고 두려운 일”이라며 “(문재인 대통령이 공약한) 공직배제 5대 원칙과 관련해선 이전 어느 때보다 높은 수준에서 검증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회에서는 (여러 의혹을) 전부 비리라고 하는 것 같은데 저희는 반복성이나 심각성, 후보의 자질과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여성 비하 표현으로 논란이 계속되는 탁현민 청와대 행정관의 거취에 대해서는 “대통령의 인사권이 존중되는 것이 옳다”며 야권의 해임 요구를 거부했다. 그러나 임 실장은 회의 말미에는 “국민 눈높이에 못 미친 점은 분명히 의식하고 더 잘하려 노력하겠다”고 다시 몸을 낮췄다.

야권은 청와대의 박근혜정부 문건 공개의 적법성도 지적했다. 임 실장은 “유실기록물로 봐야 하는데, 저희도 어떻게 해야 할지 골치”라며 “문건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 했으면 이렇게 했겠느냐”고 반문했다. 또 “기본적으로 지정 기록물로 분류하지 않은 모든 대통령기록물은 공개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주장했다.

정의용 안보실장은 미국도 문 대통령이 지난 17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언급한 ‘레드라인’에 동의한다는 취지로 답변했다. 정 실장은 ‘미국에도 레드라인이 있느냐’는 김동철 국민의당 의원의 질의에 “(미국도) 저희와 같은 레드라인을 인식하고 있다고 본다”고 답했다. 다만 정 실장은 한반도 전술핵 재배치 주장에 대해서는 “전혀 검토하지 않고 있다”며 선을 그었다.

여야는 운영위 전체회의에 불출석한 조국 민정수석을 놓고도 충돌했다. 정용기 자유한국당 의원은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 논란 때도 야당은 인사검증을 문제 삼았다”며 “욕하면서 배운다더니 (현 정부가) 더하다는 얘기도 나온다. 내로남불(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이라고 지적했다. 김동철 의원도 “조 수석이 (추후) 출석하지 않는다면 문재인정부의 조국은 또 다른 박근혜정부의 우병우로 변할 것”이라고 했다. 이에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이전 정부에서도 민정수석이 국회 출석 요구에 한 번도 응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최승욱 김판 기자 applesu@kmib.co.kr, 사진= 윤성호 기자, 그래픽=안지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