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적합 농가 계란 35만개, 빵·훈제란으로 가공 유통

입력 2017-08-21 21:49 수정 2017-08-22 05:00
제주도 관계자들이 21일 제주시 조천읍의 한 영농조합법인 저장창고를 찾아 살충제 성분이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된 농장에서 생산된 계란을 폐기하고 있다. 뉴시스

‘살충제 계란’이 나온 산란계 농가가 3곳 더 추가되고, 유통 조사에선 일부 빵과 훈제란 제품에 부적합 농가의 계란이 사용된 것으로 드러났다. 농림축산식품부가 21일 추가로 발표한 전북 김제, 충남 아산·청양 등 3곳의 부적합 산란계 농가 모두 ‘플루페녹수론’이 소량 검출됐다. 플루페녹수론은 산란계 농가에서 검출 자체가 금지된 살충제 성분이다. 부적합 농가는 모두 52곳으로 늘었다.

추가 조사는 사흘간의 전수조사(지난 18일 결과 발표)에서 일부 살충제 성분 조사가 누락돼 문제가 불거지자 시행했다. 친환경 인증 농가(780곳)를 제외한 일반 농가(459곳)는 지자체가 조사를 담당했다. 12개 광역 지자체는 올해 신규로 추가된 8종의 살충제 성분 중 5∼8종의 검사 시약을 구비하지 않은 채 조사를 진행했다. 농식품부도 이를 확인하지 않고 결과를 섣불리 발표해 화를 더했다.

더 큰 문제는 난각 코드(계란껍질) 혼란이다. 추가된 3곳 중 2500마리를 키우는 전북 김제 농가의 경우 난각 코드 없이 계란을 유통했다. 앞서 발표한 부적합 농가 난각 코드도 또다시 수정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유통 조사 과정에서 부적합 농가 7곳의 난각 코드가 잘못 발표됐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유통 조사 결과도 혼란을 부추긴다. 식약처는 49개 부적합 농가 계란의 유통경로에 있는 1617곳을 조사해 451만1929개의 계란을 압류·폐기했다고 밝혔다. 수거는 대부분 수집·판매업체(92.7%) 단위에서 완료했다. 문제가 된 곳은 제조가공업체(0.5%)다. 3개 업체에서 부적합 농가의 계란(약 35만개)으로 빵과 훈제란을 생산해 뷔페식당, 마트, 편의점에 유통했다. 부산 사하구 소재 A사는 ‘모닝빵’ 등 32개 제품 935㎏을 제조해 이 중 731.5㎏을 이미 판매했다.

당국의 전수조사에서 내분비계 교란 물질인 디클로로디페닐트라클로로에탄(DDT)이 검출된 사실은 사흘 뒤에야 알려졌다. 지난 17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북지원은 친환경 인증 농가인 경북 영천 농장 1곳(8500마리 사육)과 경산 농장 1곳(4200마리 사육)의 계란에 DDT 성분이 있는 것을 확인하고 농식품부에 보고했다. 하지만 이 사실은 사흘 뒤인 지난 20일 저녁 농식품부가 이를 공식 인정하면서 알려졌다.

DDT 계란은 친환경을 표방하는 한살림 생활협동조합을 통해 유통된 것으로 확인됐다.

식약처 위해 평가에 외부 전문가로 참여한 권호장 단국대 의대 교수는 “DDT는 인체 내 잔류성이 높아 장기적으로는 암이나 내분비계 장애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번에 검출된 DDT는 실질적 위험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식약처는 앞서 확인된 5개 물질에 대해선 “피프로닐 계란은 평생 매일 2.6개씩, 비펜트린 검출 계란은 36.8개씩 섭취해도 문제가 없다”고도 덧붙였다.

세종·영천=신준섭 최일영 기자, 최예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