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 끝에 선 당신, 지자체에 손 내미세요”

입력 2017-08-22 05:00 수정 2017-08-22 15:01
전국 지자체가 자살률을 낮추기 위한 정책개발에 역량을 쏟고 있다. 경기침체와 청년실업, 가족해체 등으로 벼랑 끝에 선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자살예방이 새 정부 국정과제에 포함될 정도로 큰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21일 보건복지부와 각 지자체에 따르면 국내 자살률은 세계보건기구(WHO) 조사결과 2015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28.3명으로 전체 조사대상 183개국 중 4위 수준으로 높다.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내 국가들 중에는 2003년부터 13년 연속 1위다.

지자체의 자살예방 노력은 단순한 캠페인성 활동에서부터 특정 연령층이면 누구나 정신과 의사로부터 위로와 진료를 함께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그 폭이 넓다. 자살 고위험군을 최대한 빨리 발굴해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하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

서울시는 전문상담사가 24시간 위기상담을 하는 ‘마음이음 위기 상담전화’와 자살자 유족관리를 위한 ‘자작나무’ 모임을 운영 중이다. 종교단체를 지원해 종교관에 맞는 자살예방 활동을 실시하는 ‘살사(살자 사랑하자) 프로젝트’도 시행 중이다.

나백주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자살을 예방하려면 복지와 경찰, 의료 등의 협력이 필요하다”며 “그러자면 종합행정을 주도하는 지자체가 이 문제를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 중구는 지난달부터 50∼65세 미만 구민에 대해 정신과 검진·상담비를 3회까지 전액 지원하고 있다. 노후불안 등에 흔들리는 중년들이 의사에게 고충을 털어놓고 위로와 함께 진료를 받도록 하는 특단의 대책이다.

구로구는 그동안 운영해온 ‘희망터치 무인검진기’에 지난달 19일부터 알코올과 도박중독 검사기능을 추가했다. 구는 2014년부터 자살위험도 등의 파악 기능을 탑재한 무인검진기를 분산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충북 충주시는 지난 6월 칠금동과 중앙탑면을 잇는 신탄금대교에 ‘당신은 누구보다 소중한 사람입니다’ 등 자살예방 문구 30건을 내걸었다. 청주시 역시 문의대교에 회전형 카메라와 감지센서 등 다양한 자살방지 시설을 보강하고 자살예방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전남 나주시는 지난 10일 ‘생명사랑 녹색마을’ 현판 제막식을 갖고 농약안전보관함 109개를 설치 중이다. 농약을 이용한 충동적 자살을 막기 위한 고육책이다.

광주광역시는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자살예방 사업에 535억의 예산을 투입해 자살률을 크게 떨어뜨렸다. 2010년 10만명당 30.7명으로 전국 17개 광역단체 중 5위였던 자살률은 2015년 19.8명으로 세종시(19.7명)에 이어 두 번째로 낮아졌다. 이택현 기자,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