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대한감리회(기감·전명구 감독회장)가 비정규직 노동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기감 100만전도운동본부는 전체 노동인구의 절반에 가까운 비정규직 노동자 문제를 공론화하고 교회의 대책을 고민하기 위해 21일 서울 종로구 감리교본부에서 ‘100만전도운동과 비정규직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심포지엄에는 노동 전문가와 신학자, 비정규직 해고 노동자들이 참석해 비정규직의 현실과 해법을 함께 고민했다.
‘비정규직 규모와 실태 그리고 대책’이란 주제로 발표한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현 비정규직 문제의 주요 원인은 외환위기 이후 노동시장 유연화 정책, 기업의 인건비 절감 전략, 노조의 약화”라고 분석했다. 그는 “특히 대기업들의 외주 하청 증가와 가격 후려치기로 노동조건 전반이 하락했다”며 “이는 원청과 하청의 소통 부재를 낳아 구의역 스크린도어 노동자 사망사건 같은 사고로도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위원은 해법으로 원청의 공동사용자 책임 강화와 불법파견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 등을 제시했다.
유경동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는 ‘신학적 관점에서 본 하나님의 창조와 인간의 노동’이란 주제 발표를 통해 “교회는 빈곤층과 소외된 사람을 도울 도덕적 의무를 가진 공동체”라며 “감리교가 배고픈 자에게 먹을 것을, 목마른 자에게 마실 것을 주라는 웨슬리의 사회원리를 실천해야 한다”고 했다.
이날 심포지엄에 참석한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해직 이후 어려움과 연대의 필요성을 호소했다. 아사히글라스 비정규직 해직 노동자인 안진석(46)씨는 “5년간 일한 직장에서 문자 한 통으로 계약 해지를 통보받았다”며 “정부가 비정규직 관련 법령을 개선하고 회사가 대화에 나설 수 있도록 도와 달라”고 말했다. 동양시멘트 해직 노동자인 박상근(58)씨는 “기독교에서 관심 가져줘 고맙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대를 부탁한다”고 전했다.
남재영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정의평화위원회 부위원장은 “그동안 교회가 노동자들 현실에 무감각했다”며 “비정규직 문제를 공론화하고 공과공부 교재에 비정규직 노동자 문제를 넣는 등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글=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 사진=신현가 인턴기자
[세상 이슈에 대한 교회의 반응들-노동] “감리교, 웨슬리의 사회원리 실천해야”
입력 2017-08-22 0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