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제한적 군사옵션 실행 주한미군도 피해”

입력 2017-08-21 19:08 수정 2017-08-21 23:27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청와대 충무전실에서 한일 의원연맹 일본측 누카가 후쿠시로 회장 등 대표단을 만난 후 차담을 위해 인왕실로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일본과 미국의 의회 대표단을 연이어 만나 북한 핵·미사일 도발에 대한 공조 방안을 논의했다. 동시에 일본 측에는 한·일 위안부 합의 과정에 대한 경위를 파악하고 있다고 언급했고 미국 측을 상대로는 ‘한반도 전쟁 불가론’을 재차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 본관에서 40분간 한일의원연맹 일본 측 대표단을 접견했다. 양측은 한·일 양국의 미래지향적 관계 형성과 북한 핵·미사일에 대한 긴밀한 공조가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은 “국민들은 정서적으로 위안부 합의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며 “합의 경위를 파악하기 위해 외교부 태스크포스(TF)가 활동하고 결과를 지켜보는 중”이라고 했다. 일본 측 대표단은 누카가 후쿠시로(額賀福志郞·자민당) 한일의원연맹 일본 측 회장, 가와무라 다케오(河村建夫·자민당) 일본 측 간사장 등 12명이다.

문 대통령은 일본 의회 대표단 면담 직후 미국 상하원 의원 대표단을 70분가량 접견한 자리에서 “6·25전쟁의 폐허를 딛고 성장한 대한민국을 다시 폐허로 만들 수는 없는 노릇”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이 전통적으로 북핵을 포기시키기 위해 모든 옵션이 테이블 위에 있다는 입장을 취하는 것은 이해한다”면서도 “아주 제한적 범위의 군사적 옵션 실행도 한국인뿐 아니라 한국 내 많은 외국인과 주한미군의 피해를 부를 것”이라고 했다. 접견에 참석한 미국 측 인사는 대표단 단장인 에드워드 마키 상원의원(동아태소위 민주당 간사)을 비롯해 제프 머클리, 크리스 벤 홀러 상원의원 등이다. 마키 상원의원은 “미국 공화당과 민주당 의원 모두는 한국의 친구들이며 북핵 문제 해결에 함께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