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한·미 연합군사훈련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 첫날인 21일 “(UFG 연습은) 방어적 성격의 연례 훈련”이라며 “한반도에서 군사적 긴장을 고조하려는 의도가 전혀 없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을지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을지훈련은 우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민·관·군의 방어태세를 점검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북한은 평화를 지키기 위한 우리의 노력을 왜곡해서는 안 되며 이를 빌미로 상황을 악화하는 도발 행동을 해서도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의 발언은 UFG 연습 기간 중 북한의 도발 우려가 높아짐에 따라 대북 경고 메시지를 발신한 것으로 해석된다. 북한은 UFG 연습 등 한·미 연합훈련을 ‘북침 핵전쟁 연습’이라 규정하고 훈련 기간 중 각종 도발을 저질러 왔다. 문 대통령은 “북한은 그들의 계속된 도발 때문에 한·미 합동방어훈련을 하는 악순환이 반복됨을 인식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최근 한반도 정세가 그 어느 때보다 엄중하다”면서 “정부는 굳건한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국제사회와 협력해 현 상황이 전쟁 위기로 발전하지 않도록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북한에 도발을 멈추고 대화에 응하라고 재차 촉구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은 추가 도발과 위협적 언행을 중단하고 우리 정부와 국제사회가 제시한 대화 메시지에 귀를 기울이기 바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에 앞서 주재한 을지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 “한·미 연합군은 강력한 방위태세를 유지하는 한편 북한의 도발 시 즉각적이고 단호한 격퇴가 이뤄질 수 있도록 완벽한 대응태세를 갖추라”고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정경두 합참의장과 빈센트 브룩스 한미연합사령관으로부터 화상통화를 통해 한·미 양국 군의 훈련계획 등을 보고받고 이같이 말했다.
한·미 군 당국은 UFG 연습을 시작했다. 올해 훈련은 미군 참가 병력이 지난해보다 7500명 감소하는 등 비교적 소규모로 치러져 북한을 의식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이와 관련해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부 장관은 20일(현지시간) 요르단으로 향하는 비행기에서 자국 기자들에게 “병력이 줄어든 것은 훈련이 지휘소 중심으로 치러지기 때문”이라면서 “북한과의 긴장 고조와는 무관하다”고 말했다. 이번 UFG 연습에는 최근 한국을 찾은 해리 해리스 미 태평양사령관과 존 하이튼 미 전략사령관이 참관하며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점검한다. 곧이어 방한하는 새뮤얼 그리브스 신임 미사일방어청(MDA) 청장도 UFG 연습을 참관할 것으로 전해졌다.
하이튼 사령관은 이날 국방부 청사에서 송영무 국방장관을 만나 “미국뿐 아니라 동맹국 방어를 위해 미국의 전략자산과 미사일 방어역량을 제공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하이튼 사령관은 이어 UFG 지휘소를 찾아 정 합참의장을 예방했다. 해리스 사령관과 하이튼 사령관 등 한국을 방문한 미군 수뇌부들은 22일 합동 기자회견을 할 예정이다.
글=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사진=서영희 이병주 기자
文 대통령 “UFG 연습은 방어훈련… 北 도발 땐 단호히 격퇴”
입력 2017-08-21 19:02 수정 2017-08-21 2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