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학년도 수능 개편을 위한 공청회가 21일 대전 충남대 일정으로 모두 끝났다. 교육부는 지난 10일 현재 중3이 치를 수능 개편안을 내놓은 뒤 11일 수도·강원권, 16일 호남권, 18일 영남권에 이어 이날 충청권을 마지막으로 4차례 권역별 공청회를 열었다. 참석자들은 4과목을 절대평가하는 1안과 국어, 수학, 선택과목까지 포함한 전 과목 절대평가인 2안을 놓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하지만 절대평가 적용 범위를 둘러싼 의견은 아직도 분분하고, 둘 다 적절치 않다며 제3의 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견해도 적지 않다. 이제 교육부의 최종 판단만 남았지만 문제는 한두 가지가 아니다.
교육부가 수능을 개편하려는 이유는 문·이과 구분 없는 창의 융·복합 인재 양성, 학생 간 무한 경쟁 및 학습 부담 완화 등이다. 이런 취지와 함께 문재인 대통령의 핵심 교육 공약인 수능 절대평가를 가미해 1안과 2안을 만들었다. 1년5개월의 시간이 걸린 이 과정에서 스텝이 꼬였다. 교육 정책이 절대평가에 지나치게 집중되면서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하는 데 실패했다. 수학은 여전히 이과 수학, 문과 수학으로 쪼개놓았고 탐구영역은 사회·과학탐구 중 한 과목만 선택하도록 해 문·이과로 구분해 버렸다. 문·이과 벽을 허문다는 취지를 살리지 못한 셈이다. 여기에 통합사회·통합과학이 신설되면서 학생들의 학습 부담은 가중됐다. 또 개편안이 어느 쪽으로 결정되든지 수능·내신·비교과 활동(스펙)이라는 수험생의 3중고는 더욱 심화된다. 부담이 오히려 늘어나는 개악인 셈이다. 이럴 거면 왜 수능을 개편하려고 하느냐는 혹평이 나오는 이유다.
교육부는 공청회에서 나온 의견을 수렴해 오는 31일 최종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현재로선 단계적 절대평가인 1안을 일부 수정한 개편안이 채택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하지만 교육 당국은 “입맛에 안 맞는 과일 2개를 던져주고 뭐 먹을 거냐고 묻는 게 합당하냐”는 교육 수요자들의 지적을 귀담아들을 필요가 있다. 시안과 시간에 너무 얽매이지 말고 신중하고 장기적으로 결정해야 한다는 얘기다. 올해 영어 절대평가를 먼저 해본 뒤 개편안을 다시 만드는 것도 한 방법이다. 백년대계인 교육은 서두르면 그르치게 마련이다.
[사설] 수능 공청회 마무리… 시안과 시간에 얽매이지 마라
입력 2017-08-21 1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