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세지는 ‘정발위 파고’… 추미애 리더십에 영향 주나

입력 2017-08-21 05:03
뉴시스

더불어민주당의 당 혁신기구인 정당발전위원회(정발위) 출범을 두고 당내 반발이 본격적으로 터져 나오고 있다. 추미애(사진) 대표가 “좋은 약이 입에 쓰다”며 수습에 나섰지만, 이 문제로 추 대표 리더십까지 흔들릴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추 대표는 19일 페이스북에 정발위와 관련, “몸에 좋은 약이 입에는 쓰듯이 혁신과 개혁도 당장은 불편하지만 당을 건강하게 만들자는 것”이라는 글을 남겼다. 당 일각에서는 추 대표가 당 장악력을 높이기 위해 정발위를 통해 중앙당의 공천권 강화 등을 추진하려는 것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민주당은 문재인 대통령이 당대표였던 2015년 ‘김상곤 혁신위원회’가 만든 혁신안에 따라 각 지역 기초단체장과 광역·기초의원의 공천권을 시도당위원회에 이양키로 한 바 있다. 그런데 정발위 활동 방향에 ‘지방선거에 대비한 당헌·당규 등 제도 보완’ 부분이 포함되자 중앙당의 공천권 영향력이 다시 강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전날 의총에서도 일부 의원은 정발위가 지방선거 관련 제도에 손댈 경우 지방선거 1년 전 경선 룰을 확정하도록 한 당헌·당규에 위배된다는 의견도 내놨다. 이에 대해 추 대표는 “혹여 1년 전부터 출마를 준비하는 시도당 위원장 본인의 줄 세우기 도구로 이 규정이 남용될 소지가 있다면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미리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해명했다.

추 대표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정발위를 둘러싼 민주당 내 갈등은 이미 표면화되고 있다. 특히 당내 주류인 ‘친문’(친문재인) 진영으로 분류되는 의원들이 대놓고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대표 친문 인사로 분류되는 전해철 의원은 20일 “어렵게 혁신안을 마련해 당헌·당규에 반영시키고도 이를 실천하지 않는다면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추 대표를 비판했다. 역시 친문 인사인 황희 의원도 페이스북에 “개선은 중요하지만 원칙과 신뢰는 더더욱 중요하다. 새로운 룰을 적용하더라도 다음 지방선거는 아니다”고 밝혔다. 민주당 지도부는 조만간 다시 정발위 논의를 이어갈 방침이다. 이에 따라 오는 25일로 예정된 ‘의원 워크숍’ 자리에서 의원 토론 등을 거쳐 당내 분위기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