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초저출산 위기 극복 팔 걷었다

입력 2017-08-20 18:24 수정 2017-08-20 21:41
초저출산으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에 직면한 광역 시·도와 자치단체들이 대책 마련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인구 감소가 가시화됨에 따라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출산율 0.94명으로 전국 최하위를 기록한 서울시는 류경기 행정1부시장을 위원장으로 관련 실·본부·국장, 민간위원 등이 참가하는 ‘저출산 종합대책 수립 태스크포스(TF)’를 꾸렸다. 시는 오는 10월말 1200여명이 참석하는 저출산 극복 정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를 열고 이 결과를 토대로 최종토론회를 거쳐 저출산종합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지난 3월 도내 인구 190만명이 무너진 전남도는 인구 감소와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컨트롤타워인 ‘인구정책팀’을 이달부터 신설해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인구정책팀은 계층?연령?기관별 대표로 구성된 인구정책위원회와 실무위원회를 운영하면서 일선 시·군과 협력을 통해 인구문제 극복 종합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는 또 22개 시·군과 이전 공공기관, 시민단체, 군부대 등과 연대한 ‘범도민 인구 늘리기 추진 운동본부’를 발족해 인구문제 해결에 전 도민 참여 분위기를 조성할 방침이다.

강원도는 제대군인 정착지원센터의 정착지원 프로그램을 연중 운영하고 있다. 도내에서 군생활을 마친 제대군인에게 다양한 정착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해 안정적인 사회복귀를 통해 인구를 늘리기 위한 것이다. 2012년 7월 문을 연 정착지원센터는 최근까지 883명에게 취업과 창업, 귀농·귀촌 프로그램을 지원해 제대군인과 가족 등 3500여명이 강원도에 정착하는 효과를 거뒀다.

경북 포항시도 신규일자리 창출과 저출산 극복, 전입 장려 지원 등을 3대 추진방향으로 하는 ‘포항시 인구감소에 따른 종합대책’을 수립해 본격 가동하고 있다. 지역에 맞는 일자리 창출 방안과 출산장려금·다자녀 특별양육금 지원 확대, 전입 세대 쓰레기종량제 봉투 무상지급 등 맞춤형 시책을 중점 발굴할 계획이다. 현재 1.475명에 그치고 있는 합계출산율을 오는 2020년까지 1.8명(정부 목표 1.5명)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경남 합천군은 인구증가 대책으로 폐교를 활용해 귀농·귀촌인을 위한 복합지원센터를 만드는 작업을 벌이고 있다. 센터에 주거공간과 문화·교육·복지공간, 여가·취미활동공간을 조성해 귀농·귀촌 희망자들이 농촌살이를 체험하고 실제 귀농·귀촌으로 이어질 수 있게 통합 지원할 방침이다.

김남중 기자, 무안·춘천=김영균

서승진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