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계란’에 대한 전수조사 결과 모두 49개 산란계 농장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부적합 판정 농가 1곳의 계란은 생산자 표시인 난각(계란 껍데기) 코드 없이 유통된 것으로 확인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논란이 된 친환경 인증제도 개선을 포함, 농정 개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라는 비판이 나온다.
농식품부는 전국 1239곳의 산란계 농가를 대상으로 나흘간 실시한 전수조사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전체 농가 중 4.0%인 49곳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일반 농가 18곳과 친환경 인증 농가 31곳이다.
산란계 농가에서 사용할 수 없는 성분인 ‘피프로닐’이 검출된 곳이 8곳으로 집계됐다. 피프로닐은 바퀴벌레 퇴치 등에 사용하는 살충제 성분이다. 과다 섭취 시 장기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피프로닐보다 독성이 낮지만 역시 사용할 수 없는 성분 ‘플루페녹수론’(2곳) ‘에톡사졸’(1곳) ‘피리다벤’(1곳)이 검출된 농가도 4곳에 달했다. 피리다벤이 검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살충제인 ‘비펜트린’ 성분이 기준치(0.01㎎/㎏)를 초과해 검출된 곳은 37곳이었다. 해당 농가의 계란은 유통을 금지하고 유통된 물량도 전량 회수·폐기 조치하기로 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난각 코드 확인을 통해 회수한 계란은 48만개에 이른다.
기준치를 초과하지는 않았지만 살충제 성분이 조금이라도 검출된 친환경 인증 농가는 37곳으로 최종 집계됐다. 친환경 인증 농가의 경우 살충제를 전혀 쓸 수 없다. 해당 농가의 경우 친환경 인증 농가 취소 조치를 하게 된다. 하지만 현행 제도 상 ‘친환경’ 표시를 떼고 계란을 출하할 수는 있다. 이곳들을 포함, 적합 판정을 받은 1190곳의 계란은 즉시 시중 유통을 허용했다. 향후 계란 출하부터 유통까지 점검을 강화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유통 정상화 조치에 들어갔지만 불안감은 남았다. 경북 김천에서 5000마리를 사육하다 부적합 판정을 받은 한 농가의 계란은 난각 코드 없이 유통됐다. 기존에 적합 판정을 받았던 121곳을 재조사한 결과 2곳이 부적합으로 판명되기도 했다. 2곳 모두 친환경 인증 농장이다. 김영록 농식품부 장관은 “(전수조사) 시료 채취 과정에서 문제가 있었다고 해서 121개 농장에 대해 감사를 하고 있다”며 “친환경 인증제도 등 전반적인 제도 개선을 통해 소비자가 안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 사진=윤성호 기자
‘살충제 계란’ 총 49곳 농장코드 없이 유통도
입력 2017-08-18 18:03 수정 2017-08-18 2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