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6일 오후 세월호 참사 피해자 가족 200여명을 청와대 영빈관으로 초청해 사과와 위로의 말을 전했다. 문 대통령은 “도대체 왜 그렇게 어처구니없는 사고가 일어났던 것인지, 그 원인이 무엇인지, 정부는 사고 후 대응에 왜 그렇게 무능하고 무책임했던 것인지 등 국민은 지금도 잘 알지 못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또 “세월호 참사의 진상규명을 위해 정부가 국회와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는 약속을 드린다”고 덧붙였다. 대통령이 국가적 재난의 피해자들을 직접 만나 상처를 어루만진 것은 국가의 존재 이유를 보여준 의미 있는 일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8일에는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들을 면담하고 위로했다.
세월호는 아직도 풀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사고를 둘러싼 진상이 보다 철저히 규명돼야 한다는 여론이 적지 않다.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는 제대로 활동조차 하지 못하고 작년 6월 마감했다.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가 지난달부터 특조위가 끝내지 못한 사안들을 밝히고 있으나 조사기간, 예산, 인력 등의 문제로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유족들은 2기 특조위 구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한 타당성 여부 등을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할 필요가 있다.
세월호 참사는 우리 사회에 큰 생채기를 남겼다. 많은 국민들에게 극복하기 어려운 슬픔을 안겼다. 그러나 한편으로 안전의식을 원점에서부터 되돌아보게 하는 교훈을 줬다. 정부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깊이 있게 성찰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추모시설 설치, 4·16재단 설립, 해양안전 체험관 건립 등 세월호 참사에 따른 후속 조치들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세월호를 둘러싼 갈등이 잔존하는 것도 사실이다. 대통령과 세월호 유족들의 만남을 계기로 여러 현안들이 하나둘씩 원만히 풀려가기를 바란다.
[사설] 세월호 유족 만나 사과하고 위로한 문 대통령
입력 2017-08-16 17: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