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성동구가 젠트리피케이션(둥지내몰림) 대책으로 추진해온 ‘상생협약’이 임대료 상승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동구가 16일 발표한 ‘2017년 상반기 지속가능발전구역 내 상가임대차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성수1가2동에서 올 상반기 임대료 갱신 계약을 한 78개 업체 중 60곳에서 임대료가 동결됐다. 또 78개 업체의 평균 임대료 인상률은 지난해 17.6%에서 올 상반기 3.7%로 13.9%포인트나 떨어졌다. 성수1가2동 내 서울숲길 일대는 지난해 임대료 평균 인상률이 19.3%였지만 올 상반기에는 6%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수치는 상가임대차보호법이 정한 임대료 인상률 상한선인 9%에 비해서도 한참 낮은 것이다. 특히 성수동 일대가 최근 서울에서 가장 주목받는 상권 중 하나로 임대료가 치솟는 지역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놀라운 결과라는 평가다.
성동구는 지난 4월부터 7월까지 지속가능발전구역 내 611개 업체 중 올 상반기 임대료 계약을 갱신한 78개 업체를 대상으로 임차인 탐문 방식으로 전수 조사를 실시했다. 지속가능발전구역이란 성수1가2동의 서울숲길, 방송대길, 상원길 일대로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막고 지역상권을 보호하기 위해 구에서 특별 관리하는 구역이다.
성동구는 “떠오르는 동네로 주목받기 시작한 성수동 지역의 상승된 가치를 건물주뿐만 아니라 기존의 지역공동체가 함께 공유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상생협약을 중점적으로 추진해온 결과, 임대료가 전체적으로 하락했다”며 “젠트리피케이션이란 문제를 충분히 예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탄이라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성동구는 지난해 초부터 건물주·임차인·성동구간 임대료 인상률 상한선을 지킨다고 약속하는 상생협약을 추진해 왔다. 1년6개월 만에 성수1가2동 건물주 중 62%가 이 협약에 동참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상생협약 체결 업체뿐만 아니라 미체결 업체에서도 임대료 인상률이 떨어지는 모습이 발견됐다. 상생협약을 체결한 건물들에서는 평균 임대료 인상률이 2.9%로 조사됐고, 미체결 건물들에서는 4.5%로 나타났다.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지방정부협의회장도 맡고 있는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상생협약이 임대료를 낮추는데 효과가 크다고 보고 적용 구역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며 “상생협약이 구속력이 없기 때문에 이행강제성을 부여하거나 동참 건물주에 인센티브를 주는 방법도 적극 고민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상생협약의 힘’… 성수동 임대료 상승 잡았다
입력 2017-08-17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