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주도 4차 산업혁명위 내달 닻 올린다

입력 2017-08-16 18:27 수정 2017-08-16 21:20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컨트롤타워로 종합적인 국가전략을 논의하고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마련할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다음달 출범한다. 4차산업혁명위원회 설치는 문재인 대통령의 선거 공약이었고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도 포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6일 국무회의에서 ‘4차 산업혁명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을 심의,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 위원회는 대통령 직속 기구지만 민간 중심으로 운영된다. 과기정통부는 “4차 산업혁명은 민간의 신선한 아이디어를 모으고 민간 주도의 혁신을 통해 국가시스템에 근본적인 변화를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하다”며 “민간위원은 젊고 혁신적인 사고를 가진 사람들을 대거 참여시킬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위원회는 각 분야 전문가로 최대 25명의 민간위원을 위촉하고 정부에서는 4개 부처(과기정통부, 중소벤처기업부,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장관, 청와대 과학기술보좌관 등 5명이 정부위원으로 참여한다. 위원장은 대통령이 위촉한 민간 전문가가 맡고 청와대 과학기술보좌관이 간사를 맡게 된다. 전문적인 업무 수행을 위한 분야별 혁신위원회와 특정 현안 논의를 위한 특별위원회, 관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은 별도로 둘 수 있다.

위원회는 관련 기술 개발과 인프라 구축, 지능형 공공서비스 확산, 신산업 육성 등 4차 산업혁명 전반에 걸친 이슈를 다룰 예정이다. 위원회 존속 기한은 향후 5년이다.

과기정통부는 민간위원 선임, 지원단 구성에 관한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쳐 다음달 중 위원회 설치를 마칠 계획이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