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매 부진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는 현대·기아차가 미래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며 위기 탈출을 시도하고 있다. 미래차 경쟁력 강화를 하반기 핵심 과제로 삼은 현대·기아차는 자율주행 핵심 기술인 차량-사물 간 통신(V2X·Vehicle to Everything) 시스템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현대·기아차는 경기도 화성 내 약 14㎞ 구간에 V2X 인프라 구축을 마치고 본격적인 서비스 검증 및 연구를 시작했다고 15일 밝혔다. V2X는 차량과 인프라, 차량과 차량, 차량과 보행자 등이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각종 교통·도로 상황과 차량·보행자 정보를 교환 및 공유하는 기술이다.
현대·기아차는 남양연구소∼화성시청∼비봉IC 구간 7개 교차로에 차량과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기지국, 보행자 감지를 위한 CCTV 카메라, 교통신호 정보 송출이 가능한 교통신호제어기 등 각종 V2X 인프라를 설치했다. V2X 통신 장치가 설치된 시험차량 50여대는 해당 구간을 지속적으로 운행하며 차량과 차량 간(V2V), 차량과 인프라 간(V2I) 정보 서비스를 집중 검증한다.
V2V 서비스는 교차로 통과 시 통신이 가능한 주변 차량과 충돌이 예상될 때 해당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교차로 주변차량 정보서비스’와 전방 차량 급제동으로 인한 충돌 가능성을 경고하는 ‘전방 차량 급제동 정보서비스’로 구성된다.
V2I 서비스는 횡단보도 보행자와의 충돌 위험을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보행자 정보서비스’, 현재 신호 상태와 잔여 시간을 알려주는 ‘교차로 교통신호 정보서비스’, 신호 잔여 시간과 차량 속도를 분석해 교차로 신호위반 가능성을 경고하는 ‘신호위반 경고 정보서비스’, 전방 공사구간 위치와 제한속도를 알려주는 ‘공사구간 경고서비스’ 등이다.
현대·기아차는 지난달 해외법인장 회의에서 하반기 경영 환경 극복을 위해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 신규 라인업 확대와 잠재 시장 개척 등과 함께 미래차 경쟁력 강화를 추진키로 했다. 커넥티드카, 자율주행차, 친환경차 등 미래차 개발 역량을 키워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하는 업체로 거듭난다는 계획이다. 현대·기아차는 올 하반기 중국 구이저우성에 빅데이터 센터를 본격 가동하고, 연말에는 중국 최대 인터넷 업체 바이두와 협업해 개발한 첨단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적용한 신차를 선보일 계획이다.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은 지난 5월 이스라엘 자율주행 기술 업체 모빌아이를 방문해 미래차 관련 기술에 대한 협업을 논의하기도 했다. 모빌아이는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업체다. 현대·기아차는 정부가 2020년까지 추진할 고속도로 차량 통신 인프라 구축 사업에 맞춰 V2X 서비스를 상용화할 계획이다. 5G(세대) 통신 기반 V2X 시스템 선행 연구도 병행한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
현대차 승부수… 도로·차량과 교신하는 미래차 개발 박차
입력 2017-08-16 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