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살충제 계란’이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후유증이 채 가시기도 전 계란에서 가축에 사용 금지된 살충제 ‘피프로닐’ 성분이 검출되면서 소비자들의 불안이 증폭되고 있다. 대형마트부터 편의점, 온라인마켓 등이 계란 유통을 잠정 중단해 일반 소비자부터 식품업계까지 전 국민이 ‘계란 부족 사태’에 직면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5일 전국 1456개 모든 산란계 농장의 계란 출하를 중지시키고 식품의약품안전처, 지방자치단체와 합동으로 전수검사를 시작했다. 농식품부는 전수검사를 3일 내 마무리하고, 합격 농가의 계란은 출하를 허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영록 농식품부 장관은 긴급대책회의에서 “이날(15일) 중으로 시중 유통물량의 25%를 차지하는 20만 마리 이상 대규모 농가부터 검사를 마무리해 유통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검사 결과 부적합할 때에는 전량 회수·폐기 조치된다. 식약처는 별도로 전국의 양계농가에서 계란을 직접 수거해 인체 유해성 평가를 벌인다. 더불어민주당은 16일 고위 당정청 회의에 살충제 계란 파문도 의제로 올려 후속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그러나 신선식품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미 상당수 ‘살충제 계란’이 소비자에게 팔려나갔을 가능성이 높다. 피프로닐 오염이 확인된 경기도 남양주 농가는 하루에 2만5000여개 계란을 생산하고, 2∼3일 주기로 계란을 중간 유통상 5곳에 납품해온 것으로 조사됐다. 얼마나 많은 농가가 피프로닐에 오염됐을지 아직 예측하기도 어렵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전수검사가 어느 정도 진행돼야 사태 파장을 예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불합격 판정을 받는 농장이 많으면 계란 공급 부족 사태는 장기화될 수 있다. 이 경우 AI 여파로 고공행진하던 계란 가격이 추석을 앞두고 더 오를 가능성이 높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14일 피프로닐이 검출된 남양주 농장과 별개로 경기도 광주 한 농장에서 또 다른 살충제 성분인 비펜트린이 허용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고, 이날 전북 순창 한 농장에서도 기준치 이내 비펜트린 오염 계란이 추가 확인됐다.
조민영 민태원 기자 mymin@kmib.co.kr
‘살충제 계란’ 파동… 유통 전면 중단
입력 2017-08-15 18:02 수정 2017-08-15 2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