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일본군 위안부와 강제징용 문제를 직접 거론했다. ‘역사 직시, 미래 지향’이라는 대일(對日)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피해자 중심의 과거사 해결 의지를 분명히 드러냈다.
문 대통령은 “일본군 위안부와 강제징용 등 한·일 간 역사문제 해결에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와 국민적 합의에 의한 피해자의 명예회복과 보상, 진실규명과 재발방지 약속이라는 국제사회의 원칙이 있다”며 “우리 정부는 이 원칙을 반드시 지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역사 문제를 제대로 매듭지을 때 양국 간 신뢰가 더욱 깊어질 것”이라며 “일본 지도자들의 용기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또 “한·일 관계의 걸림돌은 과거사 그 자체가 아니라 역사 문제를 대하는 일본 정부의 인식의 부침”이라고 지적했다. 일본 정부의 일관성 없는 역사 인식을 겨냥한 언급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6월 워싱턴포스트(WP) 인터뷰에서도 “일본이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은 법적 책임을 지고 공식 사과를 하는 것”이라며 “그러나 이 문제로 양국 관계의 진전이 막혀서는 안 된다”고 했었다.
다만 문 대통령은 과거사 해결과 한·일 관계 발전을 분리해 접근하는 투 트랙 기조를 유지했다. 또 한·일 관계를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함께 협력하는 관계’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구상도 제시했다. 북한 핵·미사일 위협과 북·미 간 갈등으로 한반도 위기가 고조된 상황에서 한·일, 한·미·일 공조가 긴요하다는 현실적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文 대통령 “역사문제 매듭 지어야… 日 지도자들 용기 필요”
입력 2017-08-15 1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