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은 건국 100년” 文대통령, 건국절 논란에 쐐기

입력 2017-08-15 18:09 수정 2017-08-15 21:01

문재인 대통령은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1919년 임시정부 수립이 대한민국 건국이라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 해마다 되풀이된 건국절 논란에 종지부를 찍기 위해 “보수나 진보, 정파의 시각을 넘어 새로운 100년을 준비하는 데 다함께 동참해 달라”고도 당부했다. 하지만 자유한국당 등 보수야당 반발로 건국절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문 대통령은 경축사에서 “2년 후 2019년은 대한민국 건국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는 해”라며 “내년 8·15는 정부 수립 70주년”이라고 말했다. 건국과 정부 수립을 구분, 정부가 수립된 1948년 8월 15일을 건국의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는 보수 진영 주장을 일축한 것이다. 보수 진영은 그동안 8월 15일을 건국절로 법제화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문 대통령은 이어 “이제 지난 100년의 역사를 결산하고, 새로운 100년을 위해 공동체 가치를 다시 정립하는 일을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대를 산업화와 민주화로 나누는 것은 가능하지도 않고 의미 없는 일”이라며 “대한민국 19대 대통령 문재인 역시 김대중, 노무현만이 아니라 이승만, 박정희로 이어지는 모든 대통령의 역사 속에 있다”고 덧붙였다. 건국절 논란이 불필요한 이념 논쟁으로 확대되는 것을 막기 위해 보수 진영에 통합 메시지를 던진 것이다.

하지만 한국당은 “1948년 건국이 역사적 사실”이라며 즉각 반발했다. 류석춘 한국당 혁신위원장은 “국가가 성립하려면 정치학 교과서에 나오듯 국민·영토·주권이 있어야 한다”면서 “그 기준에서 1948년 건국은 자명한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문 대통령) 본인도 19대 대통령이라는 표현을 쓰고 건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을 인정하면서 ‘1919년 건국’을 얘기하는 건 앞뒤가 맞지 않다”고 비판했다. 최해범 혁신위원도 페이스북에서 “임시정부는 대한민국의 씨앗”이라며 “아이가 잉태된 날을 생일로 기념하는 사람이 있느냐”고 주장했다. 바른정당도 논평에서 “대통령이 첫 광복절부터 대립과 갈등을 더욱 부추겨 안타깝다”고 비판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