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개혁위 ‘댓글’ 민간인 30명 수사의뢰

입력 2017-08-14 21:07
국가정보원 개혁발전위원회(개혁위)가 14일 국정원 댓글 사건과 관련해 민간인 팀장 30명에 대한 검찰 수사를 의뢰하기로 했다. 검찰이 관련 자료 검토에 착수하면서 이명박정부 당시 국정원의 광범위한 불법 정치활동 전반에 대한 전면적인 재수사 가능성도 제기된다.

개혁위는 보도자료를 통해 “적폐청산 태스크포스(TF)의 조사 대상 사건 중 당시 국정원 직원의 요청에 따라 인터넷 외곽팀장으로 댓글 활동에 참여한 민간인 30명에 대해 검찰에 수사 의뢰할 것을 권고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수사 의뢰 대상인 민간인 팀장들은 2012년 18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국정원에서 외부에 의뢰해 채용한 30개 사이버 외곽조직의 각 팀 책임자급이다. TF는 지난 3일 중간 조사 결과 발표에서 국정원이 원세훈 전 원장 시절인 2009년 5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알파팀’ 등 민간인으로 구성된 외곽팀을 운영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공개한 바 있다. 외곽팀은 3500여개에 달하는 아이디를 동원해 조직적으로 대규모 댓글 활동을 벌인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중앙지검은 이날 오후 국정원으로부터 사이버 외곽팀 활동 내역 등 댓글 사건에 관한 중간 조사 결과 자료를 넘겨받았다. 검찰이 확보한 자료는 민간인 여론조작 조직인 외곽팀의 존재와 활동 양태, 국정원이 외곽팀 운영에 조직적으로 개입한 정황 등에 관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관계자는 “사이버 외곽팀 등 관련 국정원 회신 자료를 받았다”며 “자세한 것은 내용을 검토해봐야 하고, 변론 재개 신청 여부 등도 이후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지난 8일 TF가 발표한 중간발표 자료 전반에 대한 협조의뢰 공문을 보냈다. TF는 11일에 일부 자료를 제출한 데 이어 이날도 추가 자료를 검찰에 넘겼다. 일각에선 해당 자료들이 국정원 내부 조사를 거쳐 확보된 만큼 오는 30일 파기환송심 선고를 앞둔 원 전 원장 사건의 진상 규명에 적지 않은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정건희 신훈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