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성주 사드(THAAD) 기지 내 레이더의 전자파는 인체 노출 허용치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드로 인한 소음 역시 전용주거지역 수준으로 측정돼 인근 마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주민들은 정부 조사 결과를 수용할 수 없다고 맞서고 있어 발사대 4기의 추가 배치까지는 여전히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전망이다.
국방부와 환경부는 12일 성주 사드 기지에서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검증 차원의 현장조사를 실시했다. 조사팀이 사드 레이더에서 나오는 전자파를 6분 연속 측정한 결과 평균값은 레이더로부터 100m 떨어진 지점에서 ㎡당 0.01659W(와트), 700m 지점에서 0.000886W로 나타났다. 100m 거리에서 측정된 수치는 현행 전파법이 정한 인체보호기준 ㎡당 10W의 600분의 1 수준이다. 전자파 순간 최댓값도 0.04634W로 기준치를 밑돌았다.
기지 내부 소음은 100m 지점에서 51.9㏈(데시벨), 700m 지점에서 47.1㏈로 측정됐다. 환경정책기본법상 전용주거지역 소음기준(50㏈)에 해당되는 수준이다. 소음은 주로 발전기에서 나오기 때문에 사드 기지 내 전력 공급체계가 갖춰지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는 “현장 확인을 통한 전자파 측정 결과가 사드 배치에 대한 지역주민의 우려를 해소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현장조사에는 국방부와 환경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한국환경공단, 성주군 관계자 등 30여명이 참여했다. 현장조사에 앞서 토머스 밴달 주한미8군 사령관은 사드 기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4월 사드 발사대 2기 반입 당시 한 미군 병사가 마을회관을 지나며 웃는 얼굴로 영상을 촬영한 데 대해 사과했다.
그러나 주민 반발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사드 배치 반대 단체를 중심으로 일부 주민들은 정부의 전자파·소음 측정 결과를 수용할 수 없다고 맞섰다. 정부가 측정 방식을 공개하지 않아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당초 정부는 주민 참관하에 전자파·소음 측정을 할 계획이었지만 주민들의 거부로 무산됐다. 같은 날 사드 레이더 빔이 지나는 김천 혁신도시에서 진행하려던 전자파 측정도 취소됐다.
여야는 상반된 평가를 내놨다. 더불어민주당은 “사드 임시배치는 명확한 절차를 통해 이뤄질 것”이라고 원칙적인 입장을 밝혔다. 자유한국당은 “전자파 괴담이 사실무근임을 드러내주는 결과”라며 “반대 명분이 없다”고 강조했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은 “전자파 유해성에 대한 우려를 불식할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사드 추가배치, 오래 걸릴 듯… 전자파·소음 ‘미달’에도 난관
입력 2017-08-13 1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