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와 16개 구·군에 설치된 무인민원발급기 10대 중 8대가 장애인들이 사용할 수 없는 것이어서 ‘첨단 스마트 도시’를 지향하는 부산의 이미지에 먹칠을 하고 있다.
13일 시와 16개 구·군에 따르면 시민들이 구청이나 동사무소를 찾지 않고 집이나 직장 가까운 곳에서 민원서류를 24시간 연중무휴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001년 이후 설치한 무인민원발급기는 7월말 현재 부산진구 22대 등 135대다.
부산장애인협회가 조사한 결과 이들 무인민원발급기 135대 가운데 80%인 108대가 휠체어 장애인의 조작 불가능, 시청각 장애인의 음성·표지판 안내 미제공, 점자 라벨 미부착, 이어폰소켓·촉각모니터 부재, 화면확대기능 미제공 등 장애인에 대한 서비스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체장애인 김모(45)씨는 최근 집 근처에 설치된 무인민원발급기를 이용하려다 발급기의 높이가 조절되지 않고 화면도 확대되지 않아 어려움을 겪었다.
현재 국내에는 장애인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인민원발급기가 개발돼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부산지역은 10년 이상 독점적으로 제품을 납품해 온 업체 2곳이 장애인에 대한 서비스 개선에 소홀하다는 지적이다.
부산장애인협회 관계자는 “장애인들에 대한 민원서비스를 외면한 채 특정업체의 제품을 고집하는 것은 시민들에게 양질의 서비스 제공을 포기한 것”이라며 “독과점적인 행태를 바로잡고 공정경쟁에 의한 투명한 행정집행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釜山 무인민원발급기, 장애인엔 ‘그림의 떡’
입력 2017-08-13 1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