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소 고장 등에 대비해 전력 수요가 최대일 때도 발전소를 돌리지 않고 남겨두는 적정설비 예비율이 현재 22%에서 20%로 낮아진다. 원자력발전소 2기를 새로 짓지 않아도 되는 셈이다.
전력정책심의위원회는 11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올해 말까지 수립될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7∼2031년)에 담길 설비계획 초안을 공개했다. 심의위는 2030년 적정 예비율을 20∼22% 수준으로 전망했다. 2년 전 수립된 7차 계획 22%보다 최대 2% 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심의위가 8차 수급계획에서 적정 예비율을 낮게 책정한 건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전체 발전원 구성에서 원전이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서다. 대신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에서 생산하는 전력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봤다.
적정 예비율은 발전소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발전소 고장으로 수리하거나 정비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릴수록 더 많은 예비전력을 비축해야 한다.
심의위는 “LNG 발전소는 1년에 44일 동안만 고장·정비로 가동을 정지하지만 원전은 76일 동안 멈춘다”며 “고장·정비 시간이 적은 LNG 발전이 활성화된다면 지금보다 예비율을 낮춰도 된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공론화가 진행 중인 신고리 5, 6호기를 건설할 경우 적정 예비율은 오를 수 있다.
심의위의 이 같은 주장에 실제 연간 가동 시간은 원전이 더 길다는 지적도 나온다. 원전은 고장·정비 시간을 빼고는 늘 가동되지만 상대적으로 생산 단가가 비싼 LNG 발전소는 개점휴업하는 날이 많다는 것이다. 심의위 관계자도 “LNG 발전이 빈번하게 가동 정지되는 건 사실”이라고 인정했다.
심의위는 2030년까지 적정 예비율을 맞추려면 연간 5∼10기가와트(GW)를 생산할 수 있는 발전설비를 더 지어야 한다고도 전망했다. 5∼10GW는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10기와 노후 원전의 수명을 연장하지 않는다는 가정에 따른 전망치다. 심의위는 LNG 발전소와 신재생에너지로 보완할 수 있다고 했다.
심의위는 적정 예비율과는 별개로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의 전력 생산 비중을 20%까지 늘린다’는 정부 목표를 달성하려면 45.4GW 규모의 신재생 발전소를 더 지어야 한다고도 발표했다.
글=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 그래픽=이은지 기자
전력 예비율, 원전 2기 분량만큼 낮춘다
입력 2017-08-11 1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