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 증폭되면 ‘컨틴전시 플랜’ 신속 대응”

입력 2017-08-11 21:23

한반도를 둘러싼 긴장감이 높아지면서 정부가 금융시장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불확실성이 증폭되면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에 따라 상황별로 신속하게 대응할 방침이다. 다만 정부는 북한과 미국의 ‘말잔치’로 끝날 가능성이 높아 즉각적 대응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11일 이찬우 기획재정부 차관보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기관 합동점검반 회의를 열고 금융시장과 실물경제 영향을 살폈다. 최근 북한의 괌 포위 사격 위협 등으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다소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최근 주식시장 급락과 외국인의 잇단 순매도, 원·달러 환율 급등 상황을 분석하고 대응방안 등을 논의했다. 회의 참석자들은 북한의 추가 도발, 관련국 대응 등 상황 전개에 따라 파급효과의 폭과 깊이가 더 확대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따라 정부 등 관계기관은 국내외 금융시장과 실물경제 동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다. 기재부는 환율 변화를 24시간 주시하는 비상조치에 들어갔다. 북한의 추가 도발 등 불확실성이 확대된 만큼 유사시 단계별 컨틴전시 플랜을 가동할 예정이다. 급격한 환율 변동에 따른 대응책도 마련해 둔 상태다.

다만 정부는 즉각적 조치까지 필요한 수준은 아니라고 판단한다. 주식시장의 경우 ‘지정학적 리스크’보다 외국인 투자자의 차익 실현이 지수 급락의 주된 원인이라는 평가가 우세하다. 환율의 가파른 상승도 일시적 현상에 그칠 수 있는 만큼 일단은 상황을 주시하겠다는 입장이다. 기재부 고위 관계자는 “아직은 직접적 대응보다 좀 더 추이를 살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세종=신준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