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44) 부패범죄특별수사단 2팀장이 서울중앙지검 특수부를 지휘하는 3차장검사에 전격 발탁됐다. 사법연수원 27기 가운데 유일한 차장으로, 전임보다 다섯 기수나 낮아진 인사다. 3차장이 권력형 비리 수사를 긴밀히 조율하는 관계인 대검 반부패부 선임연구관(중수부 수사기획관의 후신)보다 후배 기수인 적도 이번이 처음이다.
3차장 인사만큼이나 2차장 인사도 파격이다. 금융거래조세조사부와 방위사업부를 거치는 등 특별수사에서 두각을 드러낸 박찬호(51·26기) 서울중앙지검 방위사업수사부장을 대공 테러 노동 선거 관련 사건을 총지휘하는 공안수사의 좌장 격인 2차장에 앉혔다. 검찰 내부에선 “기수·전공 등 여러모로 벽을 허무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법무부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고검검사급 검사 538명, 일반검사 31명에 대한 승진 및 전보 인사를 17일자로 단행한다고 10일 발표했다.
댓글수사팀과 특검팀의 약진
그간 고검을 전전하다 정권교체 후 화려하게 복귀했던 윤석열(57·23기) 서울중앙지검장처럼 윤 지검장이 이끌던 국정원 댓글사건 특별수사팀 검사들도 수도권으로 속속 복귀했다. 댓글수사팀에서 활약했다 김진태 의원으로부터 ‘종북 검사’ 소리까지 들었던 진재선 검사가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장에 임명됐고 이들의 동료였던 이복현(45·32기), 단성한(43·32기) 검사도 서울중앙지검 부부장으로 발탁됐다.
국정농단 사태가 불거진 뒤 박영수 특별검사팀에 파견 갔던 검사들의 약진도 눈에 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구속의 일등 공신인 한 신임3차장은 물론이고,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과 최순실씨 조사를 담당했던 신자용(45·28기) 서울중앙지검 형사4부장은 ‘특수수사 1번지’인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장에 임명됐다.
특검에서 블랙리스트 사건을 담당한 양석조(44·29기) 대검 사이버수사과장과 비선진료 수사를 담당한 김창진(42·31기) 대구지검 부부장 역시 각각 특수3, 4부장으로 발령 나면서 권력형 비리 및 기업범죄 수사의 최일선에 나란히 서게 됐다.
검찰 특별수사본부에서 국정농단 수사 실무를 맡아온 이원석(48·27기)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장은 여주지청장으로 발령 났다. 해당 사건 공소유지 등을 배려한 결과로 보인다.
‘기획검사’ 관행 타파
법무부에서 검찰행정 등을 총괄하던 속칭 ‘기획검사’들이 요직인 서울중앙지검 부장이나 대검 과장으로 옮겨가던 공식은 깨졌다. 법무부 검찰국 소속 과장들 모두 서울중앙지검 부장검사로 입성하지 못했다. 서울중앙지검 부장검사의 경우 일선에서 두루 경험을 쌓은 뒤 부장급으로서 최후에 부임하는 부임지가 되게 하겠다는 문무일 검찰총장의 철학이 반영된 면도 있지만 좌천성 인사라는 면도 있다. 검찰국은 앞서 ‘돈 봉투 만찬’에 연루돼 물의를 빚었다.
이 밖에 주요 보직으로 꼽히는 대검 공안기획관과 범죄정보기획관은 각각 이수권(49·26기) 안양지청 부장, 권순범(48·25기) 대검 연구관이 각각 맡게 됐다. 전국의 특수수사를 조율하는 대검 검찰연구관에는 김후곤(52·25기) 대검 대변인이 보임됐다. 검사장급에서 차장급으로 직급이 낮아진 부패범죄특별수사단 단장에는 이두봉(53·25기) 수원지검 성남지청 차장이 기용됐다.
한편 법무부는 전국 5개 고검 소재지 지방검찰청에 부장검사급 인권감독관을 신설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2014년 처음 도입된 중요경제범죄조사단도 전국으로 확대했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
특검·국정원 댓글수사 검사들, ‘윤석열 지검’ 집결
입력 2017-08-10 18:34 수정 2017-08-10 2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