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구상’ 길 잃나… 통일부 “北 호응 담담하게 기다릴 것”

입력 2017-08-10 05:00
북한과 미국의 대결 구도가 심화되면서 문재인 대통령의 ‘베를린 구상’은 실행 동력이 초기부터 사실상 바닥나고 말았다. 최소한 올해 안에는 남북관계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지 못할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이 지배적이다. 그럼에도 정부는 끈기 있게 기다려보겠다는 입장이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9일 정례브리핑에서 “우리 정부는 차분하고 담담하게 북한의 호응을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남북 이산가족 상봉 제안이 무산된 것 아니냐는 지적에는 “아직 무산을 얘기할 상황은 아니다. 대북 제안을 할 때 시한을 두고 한 것은 아니다”고 했다.

하지만 북한이 미국과의 대결 의지를 한층 노골적으로 드러내면서 남북관계 전망은 더욱 어두워지고 있다. 북한은 진보 성향의 문재인정부를 ‘괴뢰패당’이라 비난하는가 하면 이틀 연속 “서울을 불바다로 만들겠다”고 위협했다. 미국과의 긴장이 어느 정도 해소되기 전에는 남북관계 개선에 나서지 않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북한이 안보리 결의 채택 이후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 같다. 굉장히 특이한 상황”이라며 “북한 내부 결속을 다지고 남한에 안보 불안감을 조성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또 한·미동맹을 이간하고 미국의 대북정책을 약화시키는 등 다양한 목적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상황이 점점 북한에 불리하게 진전되고 있음을 깨달아야 한다. 우리의 합리적 제의에 응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조성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