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국립대 4곳 가운데 1곳에서 총장이 없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10일이면 새 정부가 출범한 지 석 달이 되지만 해법은 여전히 요원한 상태다. 시급한 해결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엔 국립대 총장 직선제 부활 움직임도 일고 있다.
9일 각 대학에 따르면 전체 38곳의 국립대 중에서 9곳에서 현재 총장이 없는 상태로 학교 행정이 운영되고 있다. 총장이 없는 대학은 공주대를 비롯해 전주교대, 광주교대, 금오공과대, 목포해양대, 부산교대, 춘천교대, 한경대, 한국방송통신대 등 9곳에 이른다.
이들 대학은 대부분 박근혜정부가 1·2순위 총장 임용 후보자에 대한 임명 제청을 거부하면서 길게는 3년 반 가까이 총장 자리가 공석이다. 이 같은 상황에 일각에선 ‘교육계에도 블랙리스트가 존재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마저 나온다. 공주대는 2014년 3월부터 41개월째, 전주교대는 2015년 2월 이후 30개월째 직무대리 체재로 운영 중이다.
이에 공주대 교수회와 총학생회는 최근 기자회견을 열고 “대학을 파행으로 몰아간 건 박근혜정부의 대표적 교육적폐 때문”이라며 “민주적 절차에 따라 선정된 1순위 후보를 총장에 즉각 임명하라”고 요구했다. 공주대와 방송통신대, 전주교대의 총장 1순위 후보자들은 교육부가 특별한 사유 없이 제청을 거부했다는 이유로 소송을 제기해 대법원 판결을 앞두고 있다.
총장 공석 사태가 계속되면서 각 대학 측은 각종 사업 추진이나 학사 행정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조만간 닥칠 위기에 대다수 대학이 대응책 마련에 부산하지만 이들 대학은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들 대학 중 4곳의 교육대학은 최근 교사임용 문제까지 불거져 불안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
9개 대학들은 문재인정부 출범에 큰 기대를 걸었으나 공석 사태가 이어지자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특히 김상곤 교육부장관은 “장관이 되면 해결하겠다”고 청문회 당시 공언했지만 취임한지 5주가 넘었음에도 뚜렷한 해결책을 내놓지 못해 타깃이 되고 있다.
대학들은 “총장이 선임되지 않아 중장기 발전 계획을 세우지 못하고 학내 혼란만 계속돼 학교 구성원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손수진 공주대 교수회장은 “학교 수장이 없는 것은 배에 선장이 없는 것과 같다”며 “새 정부 들어 희망을 가졌으나 아직도 해결이 되지 않아 답답하다. 시급히 해법을 찾아 달라“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국립대 총장 공석사태 새 정부도 ‘감감’
입력 2017-08-10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