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세보다 70% 저렴한 청년매입임대주택, 연내 1500가구 공급

입력 2017-08-09 18:32
정부가 청년, 신혼부부 등 주거 취약계층을 위해 매입임대주택과 전세임대주택 공급량을 늘린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추가경정예산안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청년매입임대주택의 세부 입주 기준 등을 담은 ‘공공주택업무 처리지침’을 개정해 10일 공포한다고 9일 밝혔다.

우선 정부는 대학생과 취업준비생들에게 주변 시세보다 70% 싼 임대료만 내고 살 수 있는 청년매입임대주택 1500가구를 올해 안에 공급한다. 청년매입임대주택이란 정부가 역세권이나 대학가 주변의 주택을 매입해 저소득층 대학생이나 취업준비생에게 저렴한 보증금과 임대료로 거주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정부는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지역에 60% 수준인 900가구를 제공한다. 이 중 대학생 수요가 몰려 있는 서울에 510가구를 공급하기로 했다. 공급 주택의 유형도 다가구·다세대주택부터 주거용 오피스텔까지 다양화했다.

이를 위해 국토부는 서울시, 서울주택도시공사(SH)와 협의해 지하철 6호선인 월곡역·상월곡역 인근 역세권 지역에 민간이 건설 중인 도시형 생활주택 74가구를 매입하기로 했다. 이르면 다음 달 입주자 모집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인근에는 동덕여대 고려대 경희대 한국외대 서울예술종합학교 등 9개 대학이 있다.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한 전세임대주택도 3200가구 추가한다. 이미 선정된 예비입주자들에게 우선 공급하고 필요할 경우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통해 입주자를 추가 모집할 계획이다.

정부는 추경으로 청년매입임대주택과 전세임대주택 공급 물량이 총 4700가구 늘면서 올해 공급되는 공공임대주택 공급량도 기존 12만 가구에서 12만4700가구로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내년에도 공공임대주택 공급량을 13만 가구로 늘리고 민간이 공급하는 공공지원 임대주택도 4만 가구 확보해 연평균 공적임대주택 규모를 17만 가구로 키울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다음 달 공적임대주택 17만 가구 공급 내용이 포함돼 있는 서민 주거 지원을 위한 ‘주거복지 로드맵’을 마련해 발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종=서윤경 기자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