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발달장애인 독립생활 전국 첫 지원

입력 2017-08-08 18:58
서울에는 약 3만명의 발달장애인들이 살고 있고, 이들 중 70%는 20세 이상이다. 보호자인 부모가 세상을 떠날 경우 이들은 대개 그룹홈이나 장애인 거주시설로 들어가게 된다.

서울시가 부모 사후 홀로 남은 발달장애인들이 시설에 들어가지 않고 살던 지역에서 주민들과 어울려 살아갈 수 있도록 ‘발달장애인 독립생활 지원 서비스’를 전국 최초로 시작한다고 8일 밝혔다.

발달장애인이 생활할 집을 구하면 전문 지원인력인 ‘주거코치’가 이들이 자립할 수 있을 때까지 돌봐준다. 주거코치는 발달장애인이 사는 주택을 순회하며 부모 역할을 대신해 준다. 집안 관리나 금전 관리, 의사소통 지원은 물론 인권 침해에도 대처한다. 또 보건소나 병원에 데리고 다니고, 직업 재활이나 일자리 정보도 제공한다.

시는 일단 발달장애인 10가구를 모집해 시범사업을 하기로 하고, 8일부터 사업자를 공개 모집한다. 사업자는 시범사업 가구들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를 책임진다. 주거코치를 채용하고 주택별로 배치해 주거생활 전반을 지원하게 된다.

서울시 복지본부 장애인복지정책과에 따르면 기존의 발달장애인 주거정책은 시설 중심의 거주모델이었다. 이 모델은 운영기관이 입주자를 선정하고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식이어서 중증장애인의 경우 입주하지 못한다거나 입주해도 개인별 서비스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한계가 있었다. 특히 시설 내에서 고립돼 생활하는 경우가 많아 지역사회와 어울리지 못하는 게 문제로 지적돼 왔다.

장애인복지정책과 조경일 주무관은 “발달장애인이 부모 사후에 자신이 살던 지역을 떠나 시설로 가게 되면 적응하기가 더 어렵다”면서 “독립생활 지원 서비스가 정착되면 발달장애인과 그 부모들에게 자기 집이나 동네에서 계속 살아갈 수 있다는 희망을 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효과가 확인되면 내년이라도 사업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