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FTA·최저임금·비수기… 자동차업계 “위기의 8월”

입력 2017-08-08 05:00

국내 자동차업계가 내우외환(內憂外患)에 시달리고 있다. 업계는 대외 리스크로 사드(THAAD) 추가 배치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에 따른 판매 감소를, 국내 이슈로는 최저임금 인상과 노조 파업, 통상임금 판결 등을 꼽고 있다.

업체별로는 한국지엠이 사업 철수 및 축소설에 시달리고 있고, 기아자동차는 이달 중순 통상임금 재판에서 패소할 가능성 때문에 잔뜩 긴장하고 있다. 휴가철인 8월은 자동차 비수기이기도 해 판매 급감과 영업이익 감소 등 실적 악화는 불가피해 보인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7일 “지난달 28일 우리 정부의 사드 임시배치 결정 등으로 중국과의 관계가 냉랭해지고 있는 가운데 자동차산업에 미치는 사드 여파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이 한국 기업에 대한 사드 보복을 본격화한 지난 3월 이후 현지 판매가 가장 크게 감소한 완성차업체는 현대·기아차다. 두 회사는 올 상반기 중국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47% 줄었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기아차의 중국 시장 전략에도 실책이 있긴 하지만 판매가 단기간에 급감한 것을 보면 사드 여파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업체들은 한·미 FTA 재협상 과정에서 대미 수출 조건이 악화돼 중국 다음으로 큰 미국 시장에서도 판매가 감소하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한·미 FTA 재협상 의지를 밝히면서 미국의 무역적자 분야 중 하나로 자동차를 지목한 상태다.

최저임금 인상은 특히 자동차부품 업체에 경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들 업체는 “최저임금 산정 기준에 상여금이 배제돼 중소기업은 사실상 기준을 맞추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자동차업계는 부품업계 경영난으로 공급체계가 흔들리면 완성차 업체도 타격을 받게 돼 악순환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한국지엠 철수나 사업 축소까지 현실화되면 파장이 협력업체로 번지면서 국내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가시화되는 노조 파업도 업계를 긴장시키고 있다. 현대·기아차와 한국지엠 노조는 각각 파업을 결의한 상태로 여름휴가 직전인 지난달 말까지 사측과 집중 교섭을 벌였지만 합의하지 못했다. 휴가에서 복귀한 현대차 노조는 7일 쟁의대책위원회를 열고 오는 10일과 14일 각각 2시간씩 부분 파업을 벌이기로 했다. 기아차 노조도 투쟁 방향을 논의 중이다.

기아차는 오는 17일 예정된 통상임금 재판 선고에도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노조 조합원 1만4800여명이 2011년 회사를 상대로 “상여금을 통상임금으로 인정해 달라”고 청구하면서 시작된 이 재판은 소송 참여인원과 소송금액이 업계 최대 규모다. 기아차는 패소 시 이자를 포함해 최대 3조원의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재판 결과가 다른 통상임금 소송에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업계 전반이 주목하고 있다”고 전했다.

글=강창욱 기자 kcw@kmib.co.kr, 삽화=전진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