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국경대치 중국-인도 무력충돌 임박?

입력 2017-08-06 18:22
중국 정부가 장기간 국경대치 중인 인도를 향해 최후 통첩성 경고를 잇따라 발표하면서 군사작전이 임박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번 국경 분쟁은 지난 6월 16일 중국 티베트 둥랑-인도 시킴-부탄 3개국 국경선이 만나는 도카라 지역에서 실시된 중국군의 도로 건설에서 비롯됐다. 부탄이 강력 반발하면서 부탄과 상호방위조약을 근거로 파견된 인도군 병력이 이틀 뒤인 18일 중국 측으로 넘어 오면서 중국 무장병력과 45일 넘게 대치 중이다.

중국 국방부는 지난 3일 런궈창 대변인 명의의 성명에서 “중국은 최대한 선의를 가지고 외교적 수단으로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다”면서 “중국 군대는 양국관계의 전반적 정세와 지역 평화 안정을 위해 고도의 자제를 유지했지만 선의엔 원칙이 있고 자제에는 최저선이 있다”고 밝혔다.

차이나데일리 등 중국 언론들은 6일 전문가들을 인용해 국방부 성명은 “중국의 인내가 끝나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중국국제문제연구원 란젠쉐 연구원은 “중국은 인내하며 외교 채널을 통해 인도군의 철수를 요구하고 있다”면서 “인도가 중국의 외교적 노력을 무시할 경우 다양한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다양한 가능성에는 군사 작전이 포함된다. 후즈융 상하이 사회과학원 국제관계연구소 연구원은 “중국은 2주 내 소규모 군사작전을 전개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군사작전은 중국 영토에 불법 진입한 인도 군인들을 체포해 추방하는 형식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서 중국 외교부는 최근 ‘인도 국경수비군의 중국·인도 접경지역인 시킴 지역에서 중국 영토 월경(越境) 사실 및 중국의 입장’이라는 장문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홍콩 명보는 과거 외교부가 ‘불법 월경’ 등 완곡한 표현을 썼지만 이번 문건에서는 ‘침입’이라고 표현한 점에 주목했다. 이와 함께 중국 관영 CCTV는 지난 4일 양국 군 대치 지역과 인접한 티베트 지역에서 대규모 화력을 동원한 실전 사격훈련 모습을 집중 방영하면서 인도에 무력시위를 했다.

하지만 중국 엄포에도 불구하고 실제 군사 행동에 나설지는 미지수다. 특히 다음 달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만나는 샤먼 브릭스(BRICS) 정상회의를 앞둔 상황에서 중국이 어떻게든 군사적 충돌은 피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