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측 “권력 가진 사람이 멋대로 하겠다는데...” 부글

입력 2017-08-07 05:00

이명박(얼굴) 전 대통령(MB) 측은 ‘국정원이 민간인 댓글 부대를 운영했다’는 국정원 적폐청산 태스크포스(TF) 발표에 대해 공식 반응을 자제하고 있다. 하지만 4대강 사업 재감사에 이어 국정원 댓글 사건의 재수사까지 거론되자 여권의 적폐청산 드라이브가 이명박정부를 겨냥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보수 야당 내부에서는 “문재인정부가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이 전 대통령을 새로운 타깃으로 삼았다”는 주장까지 나왔다.

MB측 관계자는 6일 국정원의 18대 대선 개입 의혹과 관련된 여권의 공세에 “할 말이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적폐청산 TF 발표에 “대응할 가치도 없다. 권력을 가진 사람들이 멋대로 하겠다는데 어떡하겠느냐”며 노골적으로 불편한 심기를 내비쳤다.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에 포진한 옛 친이(친이명박)계 의원들도 사태 추이를 경계하고 있다. 한국당 한 의원은 “(TF가) 한밤중에 중간조사 결과를 공개한 것부터가 정치적 의도를 의심케 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친이계들은 TF의 발표가 이 전 대통령 시절 박연차 게이트에 대한 보복이라는 주장마저 나왔다. 바른정당 관계자는 “자기 지지층만 바라보고 보수정권 적폐청산을 계속할 경우 역으로 보수층이 결집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게다가 국정원 적폐청산 TF가 추가 공개할 과거사 관련 이슈에는 이명박정부와 박근혜정부 시절 각종 의혹들이 포함돼 있다. 여기에 검찰 수사까지 결합될 경우 이전 정부에 대한 대대적인 사정작업으로 비쳐질 가능성도 있다.

TF 발표와 관련해 여야 입장은 엇갈렸다. 김현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이명박정부 시절) 국정원이 사조직화해 혈세를 써가며 민의를 왜곡하고 각종 선거에 개입한 일에 대한 진상조사가 정치 보복이라는 주장은 지나가는 소가 웃을 일”이라고 말했다. 반면 정용기 한국당 원내수석대변인은 “국가안보를 위한 사이버 대응활동도 적폐로 몰아가는 것은 적 앞에서 스스로 무장해제하는 위험천만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