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F 3대 관전포인트… ①남북 외교장관 만날까

입력 2017-08-04 18:09 수정 2017-08-04 21:18
사진=뉴시스

한반도 주변국 외교 수장이 7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리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 총집결한다. 북한의 미사일 연쇄 도발 이후 제재 고삐를 바짝 죄고 있는 미국 일본과 이를 저지하려는 중국 러시아 간 치열한 외교전도 펼쳐질 전망이다.

가장 관심을 끄는 건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이용호 북한 외무상 간 접촉 여부다. 강 장관은 5일 오전 출국한다. 이 외무상도 7일 시작되는 ARF 외교장관회의에 맞춰 마닐라를 찾는다.

현재로선 남북 간 공식 양자회담은 불가능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지만 회의장을 오가는 중에 조우할 기회는 많다. 두 사람이 잠시라도 만나 어떤 대화를 나누고 제스처를 보였는지가 모두 외교적 메시지로 해석될 수 있다. 정부 당국자는 4일 “여러 상황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ARF에서 남북 외교장관회담은 2000년 처음 이뤄졌다. 김대중·노무현정부 시절엔 ARF에서 남북 회담에 준하는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진 반면 이명박·박근혜정부 때는 간단한 대화나 인사를 주고받는 수준에 그쳤다.

북·미 접촉 가능성은 높지 않다. 미 국무부는 북한의 ARF 회원국 자격을 정지하는 문제를 논의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미국은 왕이 중국 외교부장을 상대로 강력한 대북 압박을 촉구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 역시 강경 노선을 걷고 있다.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걸핏하면 주권국가에 대한 제재법을 조작해내는 미국의 책동은 국제법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깡패행위”라고 주장했다. 북한은 미·일에 맞서 제재 강화에 소극적인 중·러를 끌어들이는 데 외교력을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과적으로 한·미·일 대 북·중·러 간 뚜렷한 대립 전선이 재연될 가능성이 있다.

ARF 의장성명에 담길 북한 규탄 수위도 주목된다. 의장성명은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특정 사안에 연관된 국가들은 조금이라도 유리한 내용을 담기 위해 물밑 외교전을 벌인다. 의장성명은 의장국이 27개 참가국 의견을 취합해 회람한 뒤 최종본을 발표하기 때문에 의장국 성향도 변수가 된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