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없는 北… 남북적십자회담도 불발

입력 2017-08-01 18:14
송영무 국방부 장관(오른쪽)과 조명균 통일부 장관이 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앞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북한은 우리 정부가 제안한 군사당국회담(7월 21일)에 이어 적십자회담(8월 1일)에 아무런 반응도 하지 않았다. 최현규 기자

북한은 1일 우리 정부가 제안한 이산가족 상봉 논의를 위한 남북 적십자회담에 응답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문재인 대통령의 베를린 구상 후속조치였던 군사당국회담과 적십자회담이 모두 무산됐다.

통일부 당국자는 “정부는 지난 17일 적십자회담과 군사당국회담을 북한에 제안했지만 북한은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앞으로도 이산가족 등 인도적 문제와 군사적 긴장 완화를 위한 다각적 노력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며 북한에 호응을 촉구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6일 독일 쾨르버재단 연설에서 남북정상선언 10주년이자 추석 명절인 오는 10월 4일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진행하자고 제안했다. 정부의 적십자회담 제안은 이를 실행에 옮기기 위한 조치였다. 지난해 2월 박근혜정부의 개성공단 폐쇄 결정 이후 끊어진 남북 연락채널을 복구하려는 의미도 있었다. 그러나 북한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 14형’ 발사로 우리 측 제안을 일축했다.

북한은 당분간 회담에 응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북한은 ‘2020년 북핵 폐기 합의’를 목표로 삼은 문재인정부의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대해 연일 강한 반감을 표출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은 전날 논평에서 “핵 문제를 전제로 한 북남관계란 있을 수 없다는 우리의 입장을 외면한 것으로 용납할 수 없다”며 “이명박·박근혜 역적패당이 내들었던 ‘비핵·개방·3000’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와 아무런 차이도 없고 오히려 감추어진 흉심은 더 간특하고 역스럽다”고 비난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사진=최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