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청와대에 입성한 전직 국회의원 등 참모들의 지역위원회를 ‘사고지역’으로 결정했다. 민주당은 최근 최고위원회의를 통해 경기 시흥갑(백원우 민정비서관), 서울 강서을(진성준 정무기획비서관), 서울 관악을(정태호 정책기획비서관), 전북 익산을(한병도 정무비서관), 충남 공주·부여·청양(박수현 대변인), 충남 보령·서천(나소열 자치분권비서관) 등을 사고지역위원회로 결정한 것으로 30일 알려졌다. 사고지역위 지정은 지역위원장이 공직 근무 등으로 당적을 정리해 위원장 자리가 비었음을 당이 공식 확인하는 절차다.
당 관계자는 “지역위원장이 탈당해 공석이 되면 사고지역위로 결정하는 건 당연한 원칙인 만큼 후속 절차를 밟아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기 성남중원(은수미 여성가족비서관) 등 사정이 비슷한 지역들도 당적이 정리되는 대로 사고지역위로 처리될 예정이다. 당 지도부는 조직강화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사고지역 처리를 논의할 방침이다.
당 내부에서는 이러한 결정이 이례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청와대 입성으로 자리를 비우면 공석으로 두거나 직무대행을 임명하는 게 일반적인데, 굳이 사고지역위로 지정한 지도부의 의도가 궁금하다는 것이다. 한 의원은 “위원장이 청와대에 들어간 지역은 한동안 비워두는 등 터치가 심하지 않았지만 이번엔 분위기가 다르다”며 “빈 지역을 놓고 3∼4명이 관심을 보이는 등 물밑 신경전이 치열하다”고 전했다. 추 대표가 당 혁신 작업의 연장선상에서 영향력 확대를 꾀하는 것 아니냐는 의심어린 시선도 있다. 대선 승리 후 혁신위를 꾸리는 이례적인 상황에다 내년 지방선거 공천 룰 개정, 사고지역위원장 선임 등이 맞물리면 당내 분란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
與, 靑 참모 입성 지역구 ‘사고지역’ 결정
입력 2017-07-30 1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