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질 논란’ 등으로 벼랑 끝에 몰린 프랜차이즈업계가 공정거래위원회의 불공정 관행 근절 방안에 협조하겠다고 약속했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을 만난 자리에서다. 다만 향후 구체적 추진 사항에 있어서는 공정위가 업계와 협의해줄 것을 요청했다.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박기영 회장은 28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공정위와의 간담회에서 “최근 공정위가 발표한 불공정 관행 근절 대책을 원칙적으로 수용한다”고 말했다. 앞서 공정위는 프랜차이즈본부 정보공개 강화 등 본부의 갑질을 방지하고, 가맹점주들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발표했었다.
김 위원장은 업계에 쓴소리를 아끼지 않았다. 그는 “프랜차이즈산업이 외형적으로 급성장하는 과정에서 본부의 경영윤리와 상생 의식이 질적으로 성숙되지 않았다”며 “점주를 착취하는 본부의 이미지만 부각되고 있어 참으로 안타깝다”고 꼬집었다.
특히 유통마진에서 수익을 얻는 현재 구조를 매출액 기반의 로열티를 받는 쪽으로 선진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 대부분 프랜차이즈는 식자재나 원재료 등 필수 품목에 각각 마진을 붙이는 방식으로 가맹금을 받고 있다. 일부 본부는 필수 품목의 마진율을 공개하지 않은 채 필수 품목을 넓게 잡고, 높은 마진을 점주들에게 요구하면서 갑질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업계는 투명 경영과 윤리 경영 등 자정(自淨)을 약속하며 몸을 낮췄다. 업계 측은 자정 방안을 담은 자율상생 협약을 오는 10월까지 만들기로 했다. 다만 공정위의 조치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흘러나왔다. 박 회장은 “필수 품목 원가 공개 등 정부의 과도한 시장 개입이 자칫 국내 프랜차이즈산업의 근간을 흔들 우려가 높다”며 “공정위가 향후 대책을 추진할 때 업계와 세밀히 협의해 달라”고 요청했다. 김 위원장은 “공정위가 업계로부터 필수 품목 마진율 등 정보를 제출받더라도 영업기밀이나 업계가 원치 않는 정보는 공개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세종=정현수 기자, 사진=곽경근 선임기자
업계 “투명·윤리경영 하겠다”… 자정 약속
입력 2017-07-28 17:51 수정 2017-07-28 2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