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혁신위원회가 28일 혁신선언문 발표를 전격 취소했다. ‘서민중심경제’ 등 문구를 혁신선언문에 넣을지에 대해 의견이 엇갈렸던 것으로 알려졌다. 또 박근혜 전 대통령의 출당을 포함한 인적쇄신 문제를 놓고서도 이견을 좁히지 못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당의 혁신 방향을 정할 혁신위가 이념적 갈등과 정치적 시각차로 진통을 겪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혁신위 이옥남 대변인은 이날 ‘오전 9시30분으로 예정됐던 한국당 혁신위 선언문 발표는 위원들 간 입장이 정리되지 않아 취소됐음을 알려드린다’는 문자 메시지를 기자들에게 보냈다. 전날 자정을 넘겨 난상토론이 이어졌지만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선언문 발표가 취소된 것이다.
특히 ‘서민중심경제’라는 단어를 선언문에 넣는 문제를 놓고 가장 치열한 논쟁이 있었다고 한다. 진보진영 출신인 최해범 혁신위원이 ‘서민중심경제’를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자, 다른 위원이 “서민중심경제 노선과 좌파진영에서 주장하는 ‘민중주권론’과 차이가 무엇이냐”면서 “서민 중심이면 대기업을 배제한다는 뜻인가”라고 반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 위원은 기자들과 만나 “서민경제 부분을 담아야 한다고 했는데, 서민경제를 당의 원칙이나 노선으로 격상시키면 당 정체성에 문제가 있다는 반론이 나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좌클릭이든, 우클릭이든 국민에게 도움이 되는 정책 노선이라면 채택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한국당이 기득권 정당으로 오인당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혁신위는 또 사법적 문제와 별개로 박 전 대통령에게 정치적 책임을 물어 출당시키는 문제에 대해 논쟁을 벌였으나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 류석춘 혁신위원장은 “인적쇄신 부분 안에 박 전 대통령 (출당) 문제가 포함되는 것”이라며 “(바른정당 복당파들에 대한 인적쇄신도) 논의하고 있으나 결론을 못 냈다”고 말했다. 혁신위는 이견이 있었던 내용을 다시 논의해 다음 주 중 선언문을 발표할 계획이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
노선에 발목 잡힌 ‘한국당 혁신委’
입력 2017-07-28 20:27 수정 2017-07-28 2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