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 시동… 재개발·뉴타운 몰린 지역 눈 돌려라

입력 2017-07-27 21:09

문재인 대통령의 핵심 부동산 공약인 ‘도시재생 뉴딜’ 정책이 올 하반기에 구체화될 예정이어서 수도권 수혜지역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재개발·뉴타운 구역이 많은 인천 남구, 서울 영등포, 경기도 남양주 등이 기대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27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 등 수도권의 573개 구역(조합원 약 17만 명)에서 현재 재개발·뉴타운사업이 진행 중이다. 지역별로 나눠보면 서울 268개 구역, 경기도 208개 구역, 인천은 97개 구역 등이다.

도시재생 뉴딜은 매년 100곳씩 5년 동안 노후주거지 500곳의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이다. 사업 방식은 ‘가로주택정비사업’ 형태가 거론된다. 가로주택정비사업은 노후건축물이 밀집한 종전의 가로(도로)를 유지하면서 맞춤형으로 주변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이다. 2017년 상반기 기준으로 서울 내 17곳에서 가로주택정비사업이 진행 중이다.

다만 문재인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은 대규모 예산을 고려할 때 사업 규모나 면적이 종전 가로주택정비사업보다 커질 것으로 보인다. 덕분에 아파트 중심의 주택 시장에서 외면받던 다세대·연립주택 거래가 활기를 띠고 있다. 지난 6월 기준 서울의 연립·다세대주택 매매가격은 연초 대비 0.76%, 수도권에선 0.51%씩 상승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가격이 내린 것과 비교하면 시장 분위기가 완전히 달라진 셈이다.

수도권 시·군·구 중에서는 인천 남구에 재개발·뉴타운 구역이 35곳(1만6872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 남구 구도심에 저층 노후 단독주택과 연립·다세대주택이 밀집돼 있기 때문이다. 서울에서는 영등포가 34곳(2967명)으로 가장 많았다. 경기도에서는 덕소뉴타운과 지금도동뉴타운이 위치한 남양주가 32곳(2117명)으로 확인됐다.

다만 투자에는 주의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부동산114 윤지해 책임연구원은 “국회와 정부 그리고 자치단체 사이에 사업부지 선정과 예산안 논의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사업이 지연될 가능성도 있다”며 “연간 10조원씩 총 50조원의 재원 마련에 대해 수익성 확보와 관련한 논쟁도 예상돼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그래픽=공희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