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중기부 공식 출범

입력 2017-07-26 18:4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유영민 장관(왼쪽 네 번째)과 이진규 1차관(왼쪽 세 번째), 김용수 2차관(오른쪽 두 번째) 등이 26일 정부과천청사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식을 마친 뒤 박수를 치고 있다. 뉴시스

정부조직 개편에 따라 26일 미래창조과학부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중소기업청은 중소벤처기업부로 이름을 바꿔 공식 출범했다.

과기정통부는 ‘창조경제’를 지우고 ‘과학기술’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춰 조직을 개편했다. 부처 이름에 ‘정보통신’이 포함된 건 2008년 이명박정부 이후 9년 만이다. 출범 때부터 모호하다는 지적을 받았던 미래창조과학부와는 달리 과학기술과 정보통신을 포함해 부처 성격을 직관적으로 나타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과기정통부는 과학기술 분야 강화를 위해 과학기술전략본부(실장급)를 과학기술혁신본부(차관급)로 격상해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도록 했다. 과학기술혁신본부가 맡은 정부 연구·개발(R&D) 사업의 성과 평가를 담당하는 성과평가정책국과 평가심사과도 신설됐다. 창조경제혁신센터 등 기존 창조경제기획국이 맡던 창조경제 진흥 업무는 중기부로 이관됐다.

장관급 부처로 승격한 중기부는 기존 353명에서 431명으로 인력이 확충됐다. 조직도 확대돼 4실, 13국·관, 41과로 구성된다. 해외시장 진출 지원을 위한 해외시장정책관과 소상공인혁신과, 정책평가조정과, 거래환경개선과 등이 신설됐다. 중기 정책을 평가하고 소상공인을 육성하는 등의 업무를 맡게 된다.

다만 중기부 장관과 청사 입지 등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후보자로는 2013∼2016년 중소기업청장을 지낸 한정화 한양대 교수, 이무원 연세대 교수 등이 거론된다. 당초 현역 의원이 지명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지만 현역 의원 5명이 이미 입각한 상태여서 정치인보다는 전문가가 기용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청사는 대전에 잔류할지, 세종으로 옮길지 등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