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공기업과 출연기관들의 인사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예산과 인건비도 확보하지 않은 채 공모를 진행하다가 갑자기 취소하는 등 주먹구구식 행정으로 불신을 사고 있다.
26일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시경제고용진흥원은 지난 18일 올해 하반기 ‘재창업자 역량강화 지원사업’을 수행할 계약직 센터장 채용공고를 냈다. 다음달부터 12월까지 5개월간 교육생을 모집·관리하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조건으로 센터장에게 월 보수 300만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하지만 시 경제고용진흥원은 불과 1시간여 만에 “내부 사정으로 추후 재공고하겠다”며 채용계획을 철회하는 촌극을 빚었다. 진흥원은 1차 추경에 하반기 사업비가 확정되지 않았는데도 서둘러 채용을 공고했다가 ‘채용 취소공고’를 낸 것으로 밝혀졌다.
대표적 공기업인 광주광역시도시공사는 올 들어 3차례 실시된 사장 공모 과정에서 부적격 논란 등이 반복되자 25일 상임이사의 사장 직무대행 체제 운영을 결정했다. 광주디자인센터 역시 공석인 사업본부장 공모절차를 진행하다가 백지화했다. 센터는 지난 5월 후보자 2명을 상대로 면접까지 거쳤으나 인건비 확보가 여의치 않아 공모를 취소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업무공백과 조직혼란을 부추기는 볼썽사나운 인사 잡음이 시 공기업과 출연기관에서 잇따르고 있다”며 “스스로 경쟁력을 떨어뜨리고 있는 셈”이라고 꼬집었다.
지난 6월에는 광주신용보증재단이 계약직들을 정규직으로 전환하지 않고 2년 이내의 편법적 고용계약을 체결하려다 비난이 일자 아예 채용공고를 취소해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에 역행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했다. 재단 측은 육아휴직 등으로 인한 결원 발생 이후 채용기간이 만료된 기간제 계약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는커녕 쪼개기 계약을 통해 다시 비정규직으로 채용하려는 꼼수를 부렸다.
재단 측은 ‘비정규직보호법에 따라 계약직 연속 근무기간이 2년을 넘길 경우 정규직 전환이 바람직하다’는 고용노동부 유권해석에 따라 신규 계약직 채용공고를 취소하고 계약이 끝난 일부 직원을 무기계약직으로 뒤늦게 전환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광주시 산하기관, 끊이지 않는 인사 잡음
입력 2017-07-26 1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