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정부 첫 추가경정예산안 처리에 민주당 의원 120명 중 26명이 불참했다. 22일 추경안 처리를 위한 국회 본회의는 정족수 미달로 개회가 미뤄지는 위기 상황도 연출됐다. 민주당 의원 4∼5명은 정확한 출국 이유도 알려지지 않았다.
민주당은 국민의당, 바른정당과 22일 국회 본회의를 열어 추경안 처리를 시도했다. 본회의가 열리자 자유한국당 의원들이 집단 퇴장했고, 민주당 의원 26명을 포함해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의원 일부도 본회의에 불참했다. 표결 처리를 위한 과반수(150명)에 4명이 부족한 사태가 벌어졌다.
결국 추경에 반대한 한국당 의원들이 본회의장에 돌아와 추경안은 가까스로 통과됐다. 민주당은 그동안 “최악의 청년실업 사태를 극복하기 위한 일자리 추경”이라고 야당의 협조를 요청해 왔다. 하지만 정작 본회의 표결에는 민주당 의원 21.6%가 참여하지 않은 것이다.
26명의 표결 불참 이유는 여러 가지다. 가장 많은 이유가 ‘공무를 위한 해외 출국’이었다. 민주당 원내행정국에 따르면 본회의에 불참한 26명 중 24명은 해외에, 2명은 국내에 있었다. 직전 원내대표였던 우상호 의원은 본회의 초반 자리를 지키다 한국당 의원들이 표결에 참여한다는 소식에 군복무 중인 아들 첫 면회를 위해 국회를 떠났다. 정족수 부족 소식을 듣고 급히 국회로 돌아왔지만 표결에 참여하지 못했다. 대선 선대위 총괄본부장이었던 송영길 의원은 강연을 위해 광주로 이동하다 정족수 미달 소식에 국회로 돌아왔지만 역시 표결에 참여하지 못했다.
해외 체류 24명 중 국회 관련 업무 등 공무 차원 출국으로 확인된 의원은 15∼16명이다. 금태섭 정춘숙 의원은 공무상 미국 출장 중이었고, 일부 민주당 의원은 ‘의회·정부 고위직 상호교류’를 위해 중남미를 방문하고 있었다. 최순실 일가 은닉 재산 추적을 위해 독일을 방문한 안민석 의원처럼 부득이한 개인 일정을 소화한 의원은 4명이다. 나머지 의원 4∼5명은 민주당 원내행정국도 출국 사유를 파악하는데 애를 먹고 있다.
표결에 불참한 여당 의원들의 페이스북, 트위터 등에는 비난 글이 쇄도했다. 박홍근 원내수석부대표는 23일 “국회의장 중재에 따른 자유한국당 합의처리 약속만 믿고 상황을 안이하게 판단했다”며 “이번 일의 가장 큰 책임은 전적으로 제게 있다”고 사과했다.
당 안팎에서 해당 의원들에 대한 징계 가능성도 거론된다. 민주당 권리당원 모임은 성명을 내고 “해당 의원들의 공식적인 사과와 당 차원의 책임 있는 조치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뭣이 중헌디?… 與 4∼5명 사적 용무로 외국行
입력 2017-07-23 18:49 수정 2017-07-23 2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