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정부가 100대 국정과제에서 ‘탈원전 정책’을 거듭 강조하면서 금융권도 ‘신재생에너지 먹거리’ 찾기에 분주해졌다. 주식시장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수혜주가 급등했고, 친환경 에너지 기업에 투자하는 주요 녹색성장펀드의 수익률도 상승 추세다. 금융투자업계와 국민연금공단은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공격적인 투자를 하고 나섰다.
정부는 지난 19일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을 발표하면서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대표적 수혜주로 꼽히는 풍력터빈 제조업체 유니슨은 20일 코스닥시장에서 8.34% 상승하며 신고가를 찍었다. 풍력발전 관련 업체인 씨에스윈드(10.88%) 동국S&C(6.36%)도 가파르게 올랐다. 유진투자증권 한병화 연구원은 “정부 발표만으로도 국내 신재생에너지 시장 활성화는 초읽기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며 “원자력발전소 건설 계획이 중단된 부지를 풍력과 태양광단지로 조성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명박정부가 ‘저탄소 녹색성장’을 강조하면서 우후죽순으로 쏟아졌던 녹색성장펀드도 다시 주목받고 있다. 주요 녹색성장펀드 중 ‘마이다스책임투자증권A1’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약 24%, ‘NH아문디 대한민국 녹색성장증권’은 23%를 기록했다.
문재인정부의 국정과제에는 ‘국민연금공단이 환경·사회·지배구조를 고려하는 사회책임투자 원칙을 지키도록 하겠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실제 국민연금은 지난 12일 신재생에너지 발전, 폐기물 처리시설 관련 사업에 투자하는 그린펀드를 신설해 2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유안타증권 김후정 연구원은 “정부 정책을 통해 그간 숨죽였던 사회책임투자펀드에 볕이 들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내 증권사들도 신재생에너지 투자에 적극적이다. SK증권은 최근 2600억원 규모의 영광풍력발전소 건설사업에 자금을 조달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금융연구원 이석호 선임연구원은 “보험사들도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지원하면 기후변화 등에 따른 손해율 감소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다만 정권이 바뀔 때마다 새 정부가 지목한 성장산업에 앞다퉈 투자하는 ‘쏠림현상’을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녹색성장펀드는 2009년 첫해 수익률이 60%에 달했고 이명박 전 대통령의 임기 말까지 86개가 출시됐었다. 하지만 박근혜정부에서 저조한 수익률을 면치 못했다.
사회적책임투자는 공공성이 강조되지만 기본적으로 수익성을 올리기 위한 투자라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김후정 연구원은 “사회책임투자는 기부나 자선이 아니기 때문에 철저하게 수익성을 바탕으로 투자 결정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
금융권, 탈원전에 “신재생에너지 금맥 캐자”… 풍력발전 등 공격투자
입력 2017-07-21 05:01 수정 2017-07-21 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