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은 19일 “상공인들이 사회가 직면한 현실에 대한 명확한 인식 없이 특정 이익만을 대변한다면 국가사회의 일원으로 당당히 서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박 회장은 이날 제주 신라호텔에서 개막한 ‘제42회 대한상의 제주포럼’ 개회사에서 “우리 사회는 양극화, 과도한 근로시간, 직업의 불안정 등 개인이 감내하기 어려운 상황까지 내몰리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는 문재인정부 들어 일자리 창출, 양극화 해소 등에서 기업 역할이 강조되는 것과 관련해 상공인의 인식 전환을 촉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박 회장은 “상공인들이 현실적 어려움에 공감하고 솔선과 자발로 답해야 할 시기”라며 “잘못된 관행들은 스스로 솔선해서 바로 잡아가고 일자리 창출과 상생 협력 등 우리 사회가 바라는 일에는 앞장서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긍정적 메시지를 확산해 나가는 길이야말로 기업들에게 부여된 시대적 과제를 실천하는 길이자, 국민 신뢰를 얻고 기업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는 최선의 길”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기업에 대한 사회적 격려도 당부했다.
박 회장은 “기업은 국가의 중요한 자산”이라며 “기업의 성장은 사회 발전과 분리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업들이 이윤을 위해서라면 공익성을 도외시한다는 세간의 인식은 과거의 이야기”라고 강조했다. 그는 “기업의 공익적 역할에 대해 사회가 올바로 평가하는 풍토가 조성됐으면 한다”며 “기업인들도 소통하고 대화하면서 국민들 눈높이에서 새로운 변화의 모습을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3박4일간 일정으로 진행되는 이번 포럼에는 4차 산업혁명 등을 주제로 한 다양한 강연이 이어진다. 세계적 미래학자인 제롬 글렌 밀레니엄 프로젝트 회장이 이날 ‘4차 산업혁명과 기업의 미래’를 주제로 강연했고 21일에도 데니스 홍 UCLA 교수와 김지현 카이스트 겸직교수가 4차 산업혁명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다.
20일에는 도올 김용옥 한신대 석좌교수가 ‘기업인의 길, 새로운 한국의 미래’를 주제로 기업인 대상 첫 강연에 나선다.
서귀포=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박용만 회장 “상공인들이 특정 이익만을 대변해선 안돼”
입력 2017-07-19 19:57 수정 2017-07-19 21:01